뷰페이지

“평일에도 ‘오픈런’해야”… 소아과 진료 대란 우려 커진다

“평일에도 ‘오픈런’해야”… 소아과 진료 대란 우려 커진다

김주연 기자
김주연, 김정화, 최영권, 곽소영 기자
입력 2023-01-11 16:52
업데이트 2023-01-11 17: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아과 12곳 돌아보니, 1시간 대기가 기본
5년간 소아과 662곳 폐업으로 병원찾기도 어려워
올해 소아과 전공의 지원율 15.9%
일부 대학병원 입원 및 소아응급진료 중단까지

이미지 확대
서울의 한 소아과. 연합뉴스
서울의 한 소아과.
연합뉴스
올해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지원율이 15.9%(202명 정원·22명 지원)에 그치면서 4년차 전공의가 빠져나가는 3월이면 소아청소년과 진료 대란이 올 수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아이들 건강을 지키는 소아과 의료시스템이 붕괴할 수 있다는 우려는 동네 소아과 ‘오픈런’, 종합병원의 소아과 입원 및 외래 진료 중단과 응급실 진료 중단 등으로 현실이 되고 있다.

11일 서울·경기권 동네 소아과 12곳에서 만난 의료진과 부모들도 ‘소아과 진료 대란’을 한 목소리로 우려했다. 병원 크기나 지역에 따라 대기인원은 달랐지만, 소아과 진료를 위해 1시간을 기다리는 것은 기본이었다. 최근 5년간 662곳의 소아과가 사라지면서 살아남은 병원으로 환자가 몰린 영향이다. 상대적으로 대기 인원이 적었던 병원은 지역의 영유아 감소로 폐업을 고민하기도 했다.

오전 8시 30분, 서울 성동구의 한 소아과에는 진료 시작 전부터 몰려든 사람들로 북적였다. 오전 8시 50분, 진료 접수가 시작되자 1분 만에 대기 환자 수가 19명이 됐다. 전문의가 2명 있는 이 소아과는 평일임에도 오전 내내 대기 환자가 30명 안팎을 맴돌았다.
11일 오전 9시, 서울 성동구의 한 소아과에 대기 인원이 29명으로 표시돼 있다. 이 소아과의 대기 환자는 평일임에도 오전 내내 30명 안팎을 맴돌았다. 곽소영 기자
11일 오전 9시, 서울 성동구의 한 소아과에 대기 인원이 29명으로 표시돼 있다. 이 소아과의 대기 환자는 평일임에도 오전 내내 30명 안팎을 맴돌았다.
곽소영 기자
진료 예약 앱을 통해 진료 접수를 하는 소아과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모바일 앱을 통한 접수가 시작되면 아이돌 콘서트 ‘티켓팅’을 방불케 할 정도로 대기 인원이 치솟았다. 접수 시작과 동시에 대기 인원은 20~40명이 됐고, 앱 접수 이후 병원을 찾아도 진료를 받으려면 30분 넘게 기다려야 했다. 2살 자녀와 함께 병원을 찾은 이주희(33)씨는 “모바일로 접수하고 와서 1시간 정도 기다려 진료를 받았다”며 “평소에는 2시간 정도 기다려야 하는데, 오늘은 평일인데다 대표 원장님 한 분이 휴진하는 날이라 사람이 평소보다 적은 편”이라고 전했다.

오전 9시 10분, 경기 파주의 한 소아과 대기 접수 전광판에도 34명이 진료 대기 중이라고 표시돼 있었다. 오전 내내 진료 대기자 수는 줄어들지 않았고, 오후가 돼서야 한자릿수가 됐다. 4살 아이와 함께 온 정주현(37)씨는 “토요일에는 애들이 더 몰리다 보니 똑닥(진료 예약 앱)에서 당일 진료 예약이 30분 만에 마감되기도 한다”며 “오늘은 1시간 정도 기다렸는데, 이 정도면 굉장히 빨리 끝난 것”이라고 했다.

몰려든 환자에 1시간 대기가 기본이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은 동네에서 몇 군데 남지 않은 소아과를 찾을 수밖에 없는 처지다. 특히 맞벌이 부부들은 금요일 저녁이나 토요일에 소아과를 찾는데, 이때는 대기 시간이 2배 이상 길어진다. 이날 연차를 사용하고 아이와 함께 소아과를 찾은 최모(39)씨는 “아이가 주말과 평일을 가려가며 아픈 것도 아닌데다 병원에 오면 얼마나 기다려야 할지 알 수 없다”며 “평일에 병원을 가야 하는 날이면 오전 반차를 내거나 연차를 내야 한다”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11일 오전 서울 마포구의 한 소아과에서 아이들과 부모들이 진료를 기다리고 있다. 김정화 기자
11일 오전 서울 마포구의 한 소아과에서 아이들과 부모들이 진료를 기다리고 있다.
김정화 기자
소아과 ‘오픈런’에 지친 부모들은 소아과 대신 이비인후과, 내과, 가정의학과 등 다른 전문의가 있는 병원을 찾기도 한다. 또 집 앞 가까운 병원이 아닌 대기가 짧은 병원을 찾아 원정 진료에 나서는 경우도 있다. 4살 자녀를 둔 최진영(35)씨는 “처방해주는 약이나 진료 방법 등이 조금 차이는 있지만, 1시간 넘는 대기를 감당할 수 없어 감기 증상 같은 경우에는 이비인후과에 가기도 한다”고 전했다. 3살 자녀를 둔 김보람(38)씨는 “집 앞 병원은 대기가 너무 길어서 걸어서 15분 정도 거리에 있는 소아과로 간다”고 했다.

상대적으로 대기 줄이 짧았던 소아과도 위기감을 느끼기는 마찬가지였다. 서울 마포구에 있는 한 소아과는 이날 진료 시작 이후 30분 동안 10여명을 환자를 받았는데, 이 가운데 절반은 성인이었다. 17년째 병원을 운영하고 있는 이 소아과 원장은 “주변에 있었던 오래된 소아과가 문을 닫거나 피부과 등으로 간판을 바꿔 다는 일이 잦아졌다”며 “동네에 아이들이 줄어들고 있고, 소아과 의사는 그것보다 더 많이 줄어드는 영향 아니겠나”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12월 인천의 상급종합병원인 가천대 길병원이 전공의 부족으로 소아청소년과 입원 진료를 잠정 중단했다. 당시 아이를 안은 어머니가 발길을 돌리는 모습. 안주영 전문기자
지난해 12월 인천의 상급종합병원인 가천대 길병원이 전공의 부족으로 소아청소년과 입원 진료를 잠정 중단했다. 당시 아이를 안은 어머니가 발길을 돌리는 모습.
안주영 전문기자
소아과가 전공의들의 기피과가 돼 버린 탓에 상급 종합병원에서도 전공의가 부족하다. 대기가 길어지는 불편함 정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중증 환자에 대한 진료, 응급 진료 등이 어려운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특히 오는 3월이면 레지던트 과정을 마친 4년차 전공의 188명 빠져나가지만, 새로 들어오는 1년차 전공의는 33명에 그친다.

배우리 서울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이미 전공의 부족으로 서울을 비롯해 전국의 대학병원이 소아응급실을 폐쇄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진료할 수 있는 일부 대학병원의 소아응급실로 환자가 몰리다 보니 진료의 질도 하락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학병원에서 일하는 한 소아청소년과 전공의는 “저출산으로 영유아가 줄어드는 상황인데다 돈벌이가 안 되고 업무 강도는 높은 소아청소년과보다는 피부과나 정신의학과 지원이 늘어나는 게 현실”이라고 전했다.
김주연·김정화·최영권·곽소영 기자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