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 구민을 위해 소통하고 있는지 되돌아본다. 선거 운동 당시 “소통이 부족하다”며 진심 어린 말씀을 전하던 어르신의 목소리가 기억에 남는다. 구민들은 가슴속 한편에 응어리를 안고 있다. 그런데 들어 줄 사람이 없다. 용기 내서 얘기를 꺼내도 공허함만 남은 채 체념하고 만다. 하지만 듣는 것이 바로 우리 행정의 역할이 아닐까. 현장에 뛰어 들어가 경청해야 구민들을 이해할 수 있다.
매일 현장을 찾고 주민들을 만난다. 하루는 극심한 우울증과 저장강박 증상으로 집안 가득 쓰레기를 쌓아 둔 70대 어르신을 만났다. 문밖까지 쏟아져나온 폐지와 고물들을 보고 이웃 주민들이 구에 도움을 청했다. 청소를 강력히 거부하는 어르신을 한 번에 설득하긴 어려웠다. 포기하지 않고 끈질기게 문을 두드린 결과, 마음을 열 수 있었다. 10t에 육박하는 쓰레기 속 세상과는 단절돼 있던 집. 절실히 도움을 바랐던 이웃 주민들의 목소리가 아니었다면 이 어르신을 세상 밖으로 끌어낼 수 있었을까.
배워야 할 일들이 너무나 많다. 책상에 가만히 앉아서는 모른다. 1호 결재로 시작한 광진발전소통위원회를 비롯해 구청장과의 만남의 날, 골목 소통 등 쉼 없이 민생 현장을 돌아다니며 많은 구민들을 만나고 있지만 매일매일이 새롭다.
구민들은 지역의 전문가다. 어두운 길목, 울퉁불퉁한 도로, 통학로의 안전 문제까지 실생활과 밀접해 동네 곳곳의 문제점들을 정확하게 알고 있다. 전부 필요하고 절실한 부분이다. 귀 기울여 듣고, 당장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전광석화처럼 해야 한다. 작은 소리도 크게 새겨듣는 배움의 자세로 임해야 된다.
구정의 해답은 구민에게 있다. 매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는 마음으로 끊임없이 소통하며 배우고자 한다. 구민이 원하시면 언제든지 달려가 소통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