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 장기화에 법치주의 대응
공사차 진입방해 등 범죄로 규정
전담 수사팀 신설해 추적·엄벌도
비노조원에 쇠구슬 쏜 1명 구속
“정유·철강 추가 업무개시도 준비”
정부는 앞서 시멘트 운송거부자에 대해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한 뒤 시멘트와 레미콘,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이 호전되는 등 정부 대책이 효과를 보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문제는 비조합원 화물차에 쇠구슬을 발사하는 등 화물차주들의 정상적인 업무 복귀를 방해하는 불법행위가 잇따르고 있다는 점이다. 화물연대는 공정거래법 위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공정거래위원회의 현장 조사를 제지하기도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관계부처장관회의 모두발언에서 이 같은 행위를 모두 ‘범죄’로 규정하며 “법치주의”에 따른 대응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건설 현장에서 레미콘 등 공사 차량의 진입을 막고, 건설사들에 돈을 요구하거나 불법 채용을 강요하는 등 불법과 폭력행위가 판을 치고 있다”며 “정부는 조직적으로 불법과 폭력을 행사하는 세력과는 어떠한 경우에도 타협하지 않을 것이며 법과 원칙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날 정부 대책은 업무 미복귀 시 받을 수 있는 불이익을 확대하는 한편 화물연대의 보복 행위를 엄단할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집중됐다. 업무개시명령 직후에 파업 참여자들의 업무복귀를 독려하는 데 집중했다면 그 이후엔 업무 미복귀나 보복 행위 등을 막는 데 초점을 맞추겠다는 의도다. 정부는 이를 위해 파업 미참여자에 대한 보복 범죄를 전담할 수사팀을 신설해 대응하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특히 정상 운행을 방해하는 폭력과 불법행위는 타인의 재산과 생명을 위협하는 것”이라며 “끝까지 추적해 처벌하고, 정상 운행을 하는 운전자와 업무에 복귀하는 운전자들에 대해서는 정부가 책임지고 보호해야 한다”고 밝혔다.
더불어 이날 정부 대응은 6일 예정된 민주노총 총파업에 앞서 노동계 불법행위에 대한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다시 한번 전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윤 대통령은 “이번 (민노총) 총파업은 근로자의 권익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 파업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경찰청은 부산 강서구 부산신항 인근 도로에서 화물연대 총파업에 동참하지 않는 비노조원이 운행하는 차량에 쇠구슬을 쏜 부산 지역 노조원 3명을 검거해 1명을 구속했다.
서울 안석·부산 정철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