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제조업지수 2020년 이후 최저
소매액판매지수 감소·설비투자 보합
3분기 경제성장 이끌었던 소비·투자
4분기 또는 내년 1분기 역성장 가능성
통계청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 10월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기준)는 110.5(2015년=100)로 9월보다 3.6%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19 첫 해인 2020년 5월 -7.5% 이후 최대 감소폭이며, 같은 해 11월 109.6 이후 최저치다. 생산지수는 지난 7월 전월 대비 1.4% 줄며 감소세로 전환한 후 10월까지 네 달 연속 감소했다.
제조업의 경기 둔화로 소비와 투자도 악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전체 가구주의 근로소득 가운데 제조업 종사 가구주의 근로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은 29.6%로 가장 높은 만큼, 제조업 생산 감소는 근로소득 인상의 제약과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월 대비 9월(-1.9%)과 10월(-0.2%) 두 달 연속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9월 2.2% 감소했다가 10월 보합(0.0%)을 기록했다.
향후 소비와 투자의 전망도 밝지 않다. 11월 전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6.5로 10월보다 2.3포인트 줄며 두 달 연속 감소했다. 향후 국내 설비투자의 동향을 예고하는 국내기계수주는 9월(-25.8%)과 10월(-13.5%) 2개월 연속 하락했다.
올해 3분기 수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경제성장률을 떠받친 소비와 투자가 10월부터 둔화되는 모습을 보임에 따라 4분기 또는 내년 1분기 역성장은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3%로, 1분기(0.6%)와 2분기(0.7%)에 비해 성장폭은 낮아졌다. 순수출이 성장률을 1.8% 포인트 끌어내린 반면, 민간소비와 설비투자가 각각 0.8%포인트, 0.7%포인트 높인 것으로 분석됐다.
세종 박기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