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팔다 팔다 폰·살림까지 내놓는 청년 빚투족

팔다 팔다 폰·살림까지 내놓는 청년 빚투족

홍인기 기자
홍인기, 김정화 기자
입력 2022-10-04 22:12
업데이트 2022-10-05 02: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당포·중고마켓 몰리는 2030

금융권 막혀 물건 맡기고 급전
고금리·고물가에 빚은 눈덩이
다중채무, 4년새 20대 더 늘어

“삼성 갤럭시 S22는 20만원입니다.”

4일 서울의 한 전당포를 찾아 직원에게 휴대전화 담보대출이 가능한지를 묻자 곧바로 기종을 물었다. 해당 기종을 밝히자 직원은 “20만원에 이자는 따로 없는데 대신 수수료를 2만원 더 받는다”고 했다. 대출 기한은 3주. 그 이후에도 빌려 간 돈을 갚지 않으면 휴대전화는 전당포 소유가 된다고 했다.

이날 이 전당포에는 밀려드는 손님으로 제대로 상담조차 할 수 없었다. 직원은 “휴대전화나 태블릿PC 같은 전자제품은 출시한 지 2년이 지났다면 대출이 어렵다”면서 “제품에 찍힘이 있는 등 소위 A급 제품이 아니면 대출액도 그만큼 줄어든다”고 말했다.

‘빚투’(빚내서 투자)로 이미 대출 한도를 꽉 채워 카드사 현금서비스 등 2금융권 이용도 어려운 청년들이 전당포 문을 두드리고 있다. 급하게 돈이 필요하지만 융통할 데가 없다 보니 마지막 창구인 전당포에 물건을 맡기고 몇십만 원이라도 받아 가는 것이다. 서울 영등포구에서 전당포를 운영하는 A씨는 “요즘엔 젊은 친구들이 태블릿PC 같은 스마트 기기를 들고 많이 찾아온다”며 “신용등급 조회를 하지 않고, 별다른 복잡한 절차 없이 대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돈줄이 막히면서 당장 생활비가 급한 청년들은 당근마켓과 같은 중고거래 플랫폼에 돈이 될 만한 물건을 내다 팔기도 한다. 직장인 박모(32)씨는 “급하게 집을 내놓으면서 ‘급매’, ‘급급매’라고 써 붙여 놓듯 중고 플랫폼에도 ‘급처’(급하게 처분해야 해서 가격을 낮춰서 판다는 의미)가 많다”며 “물가도 오르고 금리가 워낙 높다 보니 필요 없는 물건들을 처분하는 사람이 늘어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낮은 금리를 활용해 주식·코인에 과감하게 투자했던 20대의 대출 규모는 치솟는 금리 탓에 갈수록 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2018년 말 61조 7856억원이었던 20대의 전체 금융권 대출액은 지난 6월 기준 95조 6535억원으로 54.8% 늘었다.

20대 대출자 중 3곳 이상의 금융사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의 비중은 같은 기간 13.3%에서 16.4%로 3.1% 포인트 늘었다. 다중채무자는 대출 상환율도 떨어지는데 6월 기준 20대 채무 불이행자는 8만 4000명, 1인당 연체된 대출액은 평균 1580만원 수준이었다. 이민환 인하대 글로벌금융학과 교수는 “휴대전화 소액 대출 또는 전당포에 물건을 맡기고 대출을 받았다면 이미 은행이나 저축은행 같은 제도권 금융을 이용하기 어려운 처지가 대부분”이라면서 “금리가 오르면서 빚 갚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악순환의 늪에서 빠져나오기가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홍인기 기자
김정화 기자
2022-10-05 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