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가족보다 친구가 더 좋아… 노인 사회적 관계 변했다

가족보다 친구가 더 좋아… 노인 사회적 관계 변했다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2-10-02 21:46
업데이트 2022-10-03 00: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인 단독 가구 증가세 고착화
이웃 동년배 친구 역할 핵심적
“지역 모임 등 사회적 지원 필요”

한국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가족 중심에서 동년배 친구, 이웃 등 ‘주변인’으로 변화하면서 노인 정책의 변화 필요성이 제시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세진·이선희 부연구위원은 2008∼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노인의 사회적 관계·활동의 변화’를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 2008년 이후 단독 가구 증가가 고착화돼 노인 혼자 또는 부부가 생활하는 변화가 뚜렷했다고 2일 설명했다. 기능적 측면에서는 왕래보다 연락을 중심으로 한 교류가 늘었는데 특히 2020년대 들어 가족 간 접촉 빈도는 감소하고 있다.

보고서는 노인이 배우자, 자녀와 맺는 관계에 대해 “상호 호혜적이기는 하지만, 가사 지원을 중심으로 한 도구적 지원은 여성 배우자가 일방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수발 및 경제적 지원은 자녀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배우자 유무와 관계없이 노인에게 친구나 이웃 중심의 관계망이 나타났고 이 같은 경향성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며 “배우자가 없는 노인에게는 신뢰할 수 있는 동년배 친구가 중추적이고 핵심적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2011년 이후 한국 노인의 사회참여 활동은 평균 1.5∼1.6개였으며 친목·학습·자원봉사 활동을 중심으로 참여를 희망하는 비율이 높았다. 친목 단체활동 희망률은 2011년 37.5%에서 2020년 81.1%로, 학습활동은 14.6%에서 43.1%로, 자원봉사활동 희망률도 9.9%에서 45.6%로 증가했다.

보고서는 “가족 구조의 변화로 앞으로 한국 노인의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은 동년배가 주축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며 “동년배 관계 증진을 위해 지역사회 모임 활성화를 위한 지원 등 사회적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은퇴 후에 접하는 사회 서비스가 본인의 기대·욕구보다 떨어져 멀어지지 않도록 노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종류나 방식을 다양화하고, 학력 수준이 높은 신규 노인층 유입에 맞춰 대학을 통한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등을 제언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2022-10-03 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