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냉전 끝내고 개혁·개방의 문 열었던 20세기 정치 거인

냉전 끝내고 개혁·개방의 문 열었던 20세기 정치 거인

안동환 기자
안동환, 안석 기자
입력 2022-08-31 22:18
업데이트 2022-09-01 02: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4세 최연소 공산당 서기장 올라
1987년 美레이건과 데탕트 초석
韓과 수교·獨통일 등 세계사 한획
1991년 보수 쿠데타로 권력 잃어
“영웅” vs “배신자” 평가 극과 극
尹·푸틴·바이든 등 정상들 애도

이미지 확대
미하일 고르바초프(왼쪽) 전 소련 대통령과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이 1987년 12월 8일 백악관에서 핵탄두 장착이 가능한 중·단거리 미사일을 폐기하기로 한 ‘중거리핵전력조약’(INF) 서명을 앞두고 대화하고 있다. INF는 미소 정상이 서명한 첫 군축 조약으로, 냉전 종식을 향한 상징적 조치로 평가됐다. 워싱턴 AFP 연합뉴스
미하일 고르바초프(왼쪽) 전 소련 대통령과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이 1987년 12월 8일 백악관에서 핵탄두 장착이 가능한 중·단거리 미사일을 폐기하기로 한 ‘중거리핵전력조약’(INF) 서명을 앞두고 대화하고 있다. INF는 미소 정상이 서명한 첫 군축 조약으로, 냉전 종식을 향한 상징적 조치로 평가됐다.
워싱턴 AFP 연합뉴스
동서 냉전 종식의 주인공이자 소련(소비에트연방) 붕괴를 이끈 최후의 소련 지도자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타계했다. 91세.

러시아 타스통신 등은 이날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이 오랜 투병 끝에 러시아 중앙임상병원에서 숨졌다고 전했다. 그는 1999년 먼저 떠난 부인 라이사 여사가 안장된 모스크바의 노보데비치 묘지에 영면한다.

그는 냉전 체제의 종언과 동구 공산권 몰락, 베를린장벽 붕괴 등으로 상징되는 20세기 격변의 중심에 있던 ‘정치 거인’이다. 1982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서기장을 필두로 유리 안드로포프 등 최고지도자의 연이은 급서(急逝)로 54세에 불과했던 1985년 최연소 공산당 서기장에 올랐다.

그가 거대한 소련 제국의 권좌에 앉아 있던 6년여간 세계 정치 지형은 그가 주창했던 ‘페레스트로이카’(개혁)·‘글라스노스트’(개방) 정책으로 격동했다. 그는 ‘철의 장막’으로 불리던 소련의 역대 지도자들과는 통치 스타일부터 확연히 달랐다. 은둔보다는 서방 지도자들처럼 라이사 여사와 함께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냈고, TV 연설을 통해 정치적 입지를 다졌다.

집권 첫해에 스위스 제네바에서 로널드 레이건 당시 미국 대통령과 만나 상호 적대적 체제 경쟁을 중단하는 ‘데탕트’(긴장 완화)의 초석을 놓았다. 고르바초프는 1987년 12월 미국 백악관에서 레이건 대통령과 중거리핵전력조약(INF) 등 군축 협정을 체결하면서 냉전 종식의 여정을 본격화했다.
‘자본주의 상징’ 루이뷔통 광고 등장
‘자본주의 상징’ 루이뷔통 광고 등장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이 2007년에 찍은 명품 브랜드 루이뷔통 광고 사진. 차 뒷좌석에 앉은 그의 옆에 루이뷔통 가방이 놓여 있고, 차창 밖으로 베를린장벽이 보인다. 그는 광고 수익금 전액을 자신의 이름을 딴 재단에 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AP·서울신문 DB
그가 소련 최고지도자로 관여한 역사적 사건마다 세계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1988년 5월 소련군의 아프가니스탄 철수부터 1989년 11월 베를린장벽 붕괴, 같은 해 12월 미소 냉전 종식 공식 선언, 1990년 9월 한국과의 공식 수교, 같은 해 10월 독일 통일 등 격변의 막전막후 인물이었다.

1990년 3월 소련의 초대 대통령에 취임했지만 이듬해 8월 보수파 쿠데타 이후 권력 기반을 잃었다. 같은 해 12월 소련 붕괴와 함께 대통령직에서 물러나면서 보리스 옐친이 이끄는 러시아연방의 출범을 목도했다.

평가는 극과 극으로 갈린다. 서방에서는 ‘고르비’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냉전 해체와 동구권의 민주화에 기여한 공로로 1990년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고국인 러시아에서는 경제 개혁에 실패하고 초강대국 소련을 고의로 몰락시킨 ‘배신자’라는 혹평이 적지 않다.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이날 크렘린 성명을 통해 “세계사에 거대한 영향을 미친 정치인이었다”고 애도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과거 소련 해체를 가리켜 “20세기의 최대 지정학적 재앙”이라고 비난했고, 지난 2월 24일 우크라이나 침공 당일에도 소련 해체 문제를 거론했다. 당시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자신이 이끌던 재단 명의의 성명을 통해 “적대 행위 중단”을 촉구하며 우크라이나 침공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한편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성명을 내고 “고르바초프는 비범한 통찰력을 가진 용기 있는 지도자”라고 애도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냉전의 평화적 종식에 헌신한 평화 옹호자를 잃었다”고 추모했고, 앙겔라 메르켈 전 독일 총리는 “그의 용기가 없었다면 (베를린장벽 붕괴를 불러온) 옛 동독의 평화 혁명도 불가능했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립과 갈등의 냉전 시대를 종식시키고 화해와 평화를 끌어낸 지도자이자 1990년 역사적인 한소 수교를 통해 한국과 러시아 간 우호·협력 관계의 확고한 틀을 마련한 선구자였다”고 애도했다.
안동환 전문기자
안석 기자
2022-09-01 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