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전면 쇄신 대신 원포인트 경질… 교육부發 여론 악화 급한 불 껐다

전면 쇄신 대신 원포인트 경질… 교육부發 여론 악화 급한 불 껐다

안석 기자
안석, 이혜리 기자
입력 2022-08-08 18:14
업데이트 2022-08-08 18: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 뜻 ’강조한 尹대통령

참모진 섣부른 교체 현실적 부담
국정 수습 차원서 일부 바뀔 수도
여권은 朴 자진사퇴에 안도 분위기
수석비서관 회의서 소통·민생 당부

이미지 확대
여름휴가를 마치고 복귀한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여름휴가를 마치고 복귀한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여름휴가를 마치고 업무에 복귀한 8일 박순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자진사퇴한 것은 사실상 경질된 것이란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박 부총리 스스로 거취를 결정한 것이지만, ‘만 5세 입학’ 학제개편안에 이어 ‘외국어고 폐지’ 발표로 인한 논란까지 불거진 상황이어서 사퇴가 불가피했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정치권은 각종 여론조사에서 20%대로 주저앉은 윤 대통령의 지지율을 반등시킬 카드로 인적쇄신을 요구해 왔다. 일부 상징적인 참모진의 교체 주장까지 나왔지만, 윤 대통령으로서는 ‘원포인트’ 성격으로 박 부총리의 사퇴를 결단하며 이 같은 요구를 받아들인 것으로 해석된다. 무엇보다 ‘교육부발(發)’ 정책 혼선으로 인한 여론 악화가 컸다는 점에서 업무 복귀와 함께 급한 문제부터 처리한 성격도 강하다.

반면 참모진의 경우 취임한 지 100일도 되지 않았고, 인재풀이 넓지 않은 상황에서 섣불리 교체를 단행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 입장에선 박 부총리의 이날 사퇴로 내각의 빈자리가 하나 더 늘게 된 상황에서 다른 인사를 생각할 여유가 없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인적쇄신을 요구해 온 여권은 박 부총리의 사퇴에 안도하는 모습이다. 앞서 공개적으로 박 부총리 경질을 요구했던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YTN 라디오에서 “문제가 있음으로써 대통령의 지지율을 갉아먹는 내각이 있다면 이것을 미련 없이 과감하게, 읍참마속하는 마음의 인적쇄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야만 국민들의 새 정부에 대한 믿음이 훨씬 더 공고하게 되고 기대감을 다시 회복시키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여권 일각에서는 박 부총리에 대한 사실상 경질에 이어 대통령실 참모진의 일부 개편이 있을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8·15 광복절과 취임 100일 행사 등 중요한 일정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당장 인사를 단행하기는 어렵지만, 전반적인 국정 수습 차원에서 향후 일부 참모진을 교체할 수 있다는 의미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수석비서관 회의와 한덕수 국무총리와의 주례회동을 연이어 갖고 업무 복귀 후 행보를 본격화했다. 특히 한 총리와의 회동에서는 국정현안에 대한 종합적인 점검과 추석 민생 대책 등 국정 쇄신 방안이 폭넓게 논의됐다. 윤 대통령은 “추석 명절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는데, 여느 때보다 추석이 빠르고, 고물가 등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맞는 명절인 만큼 기대보다 걱정이 앞서는 분들이 많을 것”이라며 “비상한 시기인 만큼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과감하고 비상한 추석 민생대책을 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또 수석비서관 회의에서는 “국민을 더 세심하게 받들기 위해 소통을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또 한 총리와 마찬가지로 수석들에게도 “추석이 다가오고 있으니 지금부터 물가 관리를 철저히 하고, 민생을 빈틈없이 챙기라”고 당부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조만간 부동산·경제 대책 발표가 예정돼 있는 등 윤 대통령이 더욱 공격적으로 민생·경제 행보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에도 무게가 실린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출근길 문답에서 말한 ‘필요한 조치’에는 인사만이 포함되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안석 기자
이혜리 기자
2022-08-09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