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디스플레이 산업의 가치사슬별 경쟁력 보고서
중국 밸류체인 전반의 경쟁력 강화로 향후 경쟁 심화 전망

▲ 한국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산업경쟁력이 세계 최고이나 수요·조달부문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사진은 삼성전자의 QD-OLED TV. 서울신문 DB
산업연구원이 27일 발표한 ‘디스플레이 산업의 가치사슬별 경쟁력 진단과 정책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OLED 산업 종합점수는 100점 만점에 83.4점으로 중국(73.1점)과 일본(70.7점)에 크게 앞섰다.
가치사슬별로 한국은 연구개발(R&D)·설계(85.0점)와 생산(88.3점) 부문에서 경쟁력 우위를 보였다. 반면 수요(80.8점)와 조달(75.8점) 부문이 취약했다. 수요는 중국(81.6점)에 뒤졌고, 조달은 일본(89.8점)에 크게 밀렸다.
일본은 핵심 소재·부품·장비에서 대체불가능한 품목들을 다수 보유해 조달분야에서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핵심 소재로 유기발광 화소 구현을 위하여 사용되는 미세한 구멍이 있는 얇은 금속 마스크(FMM) 등의 국산화가 시급한 과제로 꼽혔다.
중국은 수요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다. 조달분야는 상대적으로 열악하지만 지속적인 기술 개발로 기반이 강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세종 박승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