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이상 구현한 선덕여왕… 낭산에서 거니는 신라 역사

아버지의 이상 구현한 선덕여왕… 낭산에서 거니는 신라 역사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2-07-10 18:35
수정 2022-07-10 18: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보 금제여래입상(왼쪽)과 금제여래좌상(오른쪽).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국보 금제여래입상(왼쪽)과 금제여래좌상(오른쪽).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내가 죽거든 도리천(忉利天)에 장사 지내 달라.”

신라 제27대 왕인 선덕여왕의 유언에 신하들이 당황했다. 도리천이 어딘지 몰랐던 탓이다. 도리천은 불교 우주관에서 세계의 중심인 수미산의 꼭대기에 있는 이상 세계다. 당황하는 신하들에게 선덕여왕이 “낭산의 남쪽”이라고 알려 줬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오늘날 ‘경북 경주시 보문동 산79-2’로 표현되는 선덕여왕릉은 낭산의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해 있다.

선덕여왕은 왜 낭산에 묻히고자 했을까.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시관에서 오는 9월 12일까지 열리는 ‘낭산, 도리천 가는 길’에선 그 사연을 알 수 있다.

낭산은 신라 왕성이었던 경주 월성의 동남쪽에 있는 산으로 최고 높이가 약 100m에 불과하다. 규모는 작지만 선덕여왕릉과 전(傳) 진평왕릉, 사천왕사, 망덕사, 전(傳) 황복사, 능지탑, 구황동 목탑터 등이 밀집돼 있다. 그만큼 신라인들에게 중요한 장소였음을 추측하게 한다.
관람객들이 국보 금제여래입상과 금제여래좌상이 전시된 곳을 관람하고 있다. 경주 류재민 기자
관람객들이 국보 금제여래입상과 금제여래좌상이 전시된 곳을 관람하고 있다. 경주 류재민 기자
선덕여왕의 이야기는 전시 2부인 ‘왕들이 잠든 세상’에서 볼 수 있다. 선덕여왕의 아버지인 진평왕은 왕실을 석가모니의 가문인 석가족에 빗대어 신성화했다. 선덕이란 이름은 ‘대방등무상경’의 선덕바라문에서 유래했는데, 선덕바라문은 석가모니로부터 전륜성왕이 될 것이라는 예언을 받고 부처 열반 후 도리천의 왕이 되기를 바랐던 인물이다. 이현태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선덕여왕을 낭산 정상에 장사 지내고 그곳을 도리천으로 인식되도록 기획한 인물이 진평왕임을 알려 준다”고 설명했다.

재위 기간 불교문화를 융성시킨 선덕여왕은 전시 제목인 ‘낭산, 도리천 가는 길’의 뜻을 이해하게 하는 핵심 인물이다. 낭산은 신라인들에게 신성한 공간으로 인식됐고, 이후 왕들이 애용했고, 그 이후에는 신라인들이 평안을 기원하는 장소로 확장됐다.

전시의 1부 ‘신들이 노닐던 세계’, 2부 ‘왕들이 잠든 세상’, 3부 ‘소망과 포용의 공간’은 낭산의 확장성을 보여 준다. 토착 신앙의 성지였던 낭산이 불교 의례의 공간으로 성격이 바뀌고, 현실의 고통이 찾아올 때 신라인들이 기도하는 장소로 사용됐던 흔적을 읽을 수 있다.
이미지 확대
관람객들이 전시 2부에 설치된 불상을 살피고 있다. 경주 류재민 기자
관람객들이 전시 2부에 설치된 불상을 살피고 있다. 경주 류재민 기자
1부에서는 낭산 일대에서 발견된 여러 신장상(무기를 들고 있는 조각상)을 볼 수 있다. 십이지상 등 다양한 신장상을 통해 토착 신앙의 성지였던 낭산이 국가를 지켜 준다는 상징성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2부는 왕릉과 왕의 명복을 비는 사찰 등을 통해 신들의 공간으로 인식됐던 낭산이 왕들의 공간으로 변했음을 알 수 있다. 낭산 유물 중 1942년 황복사지 삼층석탑에서 수습한 사리장엄구(사리 봉안 장치)와 불상 일체는 발견 80년 만에 최초로 함께 공개돼 전시의 의미를 더한다.

3부는 신과 왕의 공간이었던 낭산이 개인의 소망을 기원하는 공간으로 성격이 확장됐음을 보여 준다. 현실의 어려움이 닥칠 때마다 신라인들은 낭산의 십일면관음보살상과 약사불 좌상 등의 불상 앞에서 평안을 기원했다고 한다. 국립경주박물관과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이 각각 소장한 능지탑 발굴 유물도 볼 수 있는데, 벽면이나 기단을 장식하는 벽돌인 벽전과 석탑 윗부분인 상륜부는 처음 일반 관람객과 만난다.
낭산 일원 사진.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낭산 일원 사진.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전시관 밖에 있는 높이 3.76m의 관음보살 조각상도 낭산 유물이다. 불상이 서 있는 곳 오른편으로 고개를 돌리면 낭산이 보인다. 낭산까지는 걸어서 15~20분 정도 거리로 관람객들은 전시 관람 후 낭산을 직접 방문해 신라인들의 정신세계를 살필 수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한강'의 새로운 영문표기 'Hangang River'
서울시가 ‘한강’의 영문표기와 관련해 'Hangang River'로 통일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불필요한 의미 중복이라는 지적이 나오며 이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Hangang River'가 맞다고 생각한다.
'Han River'가 맞다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