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최근 부쩍 후덕해진 김정은…다이어트 실패 ‘요요현상’ 온듯

최근 부쩍 후덕해진 김정은…다이어트 실패 ‘요요현상’ 온듯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2-05-30 07:06
업데이트 2022-05-30 14: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21년 12월 28일 당 전원회의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모습(왼쪽)과 2022년 5월 12일 당 정치국 협의회에서 촬영된 사진. 2022.5.29 연합뉴스
2021년 12월 28일 당 전원회의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모습(왼쪽)과 2022년 5월 12일 당 정치국 협의회에서 촬영된 사진. 2022.5.29 연합뉴스
지난해 몸무게 감량에 성공해 날렵해진 턱선을 드러냈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요요 현상’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주재한 각종 회의에서 체중이 급격히 불어난 모습을 보였는데, 북한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스트레스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 29일 김 위원장이 이달 들어 코로나19 방역을 지시하는 모습을 작년 12월 모습과 비교해보면 체중 변화를 알아볼 수 있다.

지난해 12월 28일 당 전원회의 때 비슷한 셔츠를 입었지만, 목둘레가 헐렁하고 턱이 다소 갸름한 모습이다.

그러나 약 5개월이 지난, 5월 12일 당 정치국 회의에선 동일한 셔츠 차림인데도 목 부분이 다시 꽉 들어찼다. 얼굴에 살집이 오르고 혈색이 어두워졌다.
왼쪽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021년 2월 8일 모습이며, 오른쪽은 2021년 6월 15일 촬영된 사진. 국가정보원은 김 위원장이 최근 몸무게 20킬로그램을 감량했다고 분석했다. AP 연합뉴스
왼쪽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021년 2월 8일 모습이며, 오른쪽은 2021년 6월 15일 촬영된 사진. 국가정보원은 김 위원장이 최근 몸무게 20킬로그램을 감량했다고 분석했다. AP 연합뉴스
북한 최고지도자의 체중은 건강 이상 여부를 가늠하는 잣대이자, 북한 체제와 직결되는 중요한 정보다. 국가정보원이 김 위원장 체중 변화와 건강 상태를 주시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국가정보원은 2016년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 위원장이 2012년 처음 집권했을 때 90㎏이었다가 2014년 120㎏, 2016년 130㎏으로 불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당시 스트레스로 폭음, 폭식을 하며 성인병이 발현될 가능성도 있다고 평가했다.

이후 2020년 10월 국정감사에선 김 위원장의 체중이 2019년 140㎏까지 불었다가 20㎏ 정도 줄었다고 알렸다.

지난해 6월 노동당 정치국 회의에선 얼굴이 부쩍 야위어 건강 이상설마저 돌았다. 지난해 9월 9일 정권수립 기념 93주년 열병식과 12월 28일 당 전원회의에서는 더욱 말끔해진 모습으로 등장해 외신들도 높은 관심을 보였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9일 당중앙위 본부청사에서 정치국 협의회를 소집, 코로나19 방역 상황 등을 보고받았다고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조선중앙TV 화면 2022.5.29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9일 당중앙위 본부청사에서 정치국 협의회를 소집, 코로나19 방역 상황 등을 보고받았다고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조선중앙TV 화면 2022.5.29
올해 들어 부쩍 살이 늘어난 모습을 보이는 것은 코로나19 의심자가 늘어나면서 체제 위협 요인 발생에 따른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김 위원장은 지난 12일 이후 총 6차례 방역회의를 주재했는데 도중에 줄담배를 피우는 모습이 포착됐다. 회의 사진 속 딱딱한 표정과 굵은 이마 주름을 보면 김 위원장이 얼마나 고심하고 스트레스를 받는지 가늠할 수 있다.

올 들어 광명성절로 불리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80주년 생일(2월 16일)과 태양절로 명명된 김일성 주석 110주년 생일(4월 15일), 조선인민혁명군 창설 90주년(4월 25일) 열병식 등 대형 정치 이벤트에 따른 피로 누적에 스트레스까지 가중된 셈이다.

한편 북한에 코로나19으로 의심되는 신규 발열 환자 수가 사흘 만에 다시 10만명 대로 올라섰다.

조선중앙통신은 30일 국가비상방역사령부를 인용해 지난 28일 오후 6시부터 24시간 동안 전국적으로 10만 710명의 발열 환자가 새로 발생했다고 전했다.

지난 12일 코로나19 의심 환자 통계를 처음 공개된 이후 30만명대까지 발열 환자 수가 치솟다가 지난 28일 8만 9500여명을 기록, 10만명선 밑으로 내려갔으나 다시 10만명선으로 올라갔다.
김민지 기자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