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中 vs 日’ 임진왜란서 미래 전쟁 단서 보인다

‘中 vs 日’ 임진왜란서 미래 전쟁 단서 보인다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2-05-26 17:30
업데이트 2022-05-27 01: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거의 모든 전쟁의 역사
제러미 블랙 지음/유나영 옮김/서해문집/416쪽/1만 9500원

전쟁 기원부터 현대전까지 다뤄
임진왜란 등 비서구 군사사 주목
‘中 패권 도전한 도요토미’식 분석
국제정치 역학·행정 등 전략 집중

이미지 확대
1760년 조선 영조 때 화가 변박이 임진왜란 당시인 1592년 벌어진 부산진 전투를 그린 ‘부산진순절도’. 제러미 블랙은 임진왜란을 일본과 중국의 충돌이란 관점으로 바라봤다. 서울신문 DB
1760년 조선 영조 때 화가 변박이 임진왜란 당시인 1592년 벌어진 부산진 전투를 그린 ‘부산진순절도’. 제러미 블랙은 임진왜란을 일본과 중국의 충돌이란 관점으로 바라봤다.
서울신문 DB
인류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다. 지난 수천년간 하루도 빠짐없이 이어진 전쟁은 인간 삶의 모든 영역을 폭력적으로 바꿔 왔다. ‘거의 모든 전쟁의 역사’는 인류의 출현과 더불어 시작된 전쟁의 역사를 되짚어 본 책이다. 전쟁의 기원부터 현대전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 현상으로서의 전쟁을 하나하나 검토하고 있다. 책은 모두 40개의 챕터로 이뤄졌다. 아프리카, 스페인 정복 이전의 라틴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 기존 전쟁사에서 잘 다루지 않거나 간략히 훑고 지나갔던 지역들의 전쟁에 대해 한 챕터씩 할애해 알려 주고 있다.

책이 보통의 역사서들과 다른 점은 첫째 태평양전쟁처럼 익히 알려진 전쟁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이다. 예컨대 한반도에서 벌어진 전쟁 가운데 저자가 주목한 건 6·25가 아닌 임진왜란이다. 그것도 이순신이란 탁월한 영웅의 활약상이나 노량해전 등 전투 위주의 서술에서 벗어나 일본과 중국의 충돌이라는 관점에서 들여다보고 있다. 중국 중심의 세계관에 도전하려는 일본의 패자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이를 저지하려는 명나라 만력제가 한반도에서 맞부딪쳤다는 것이다. 전쟁의 피해를 고스란히 겪은 조선인 후손의 시각으로는 재미없는 접근 방식이지만, 우리와 다른 세계의 시각을 이해하는 단초가 될 수는 있을 듯하다.
둘째 비서구의 군사사(史)에 더 주목하고 있다. 저자는 “세계 군사사를 봤을 때 서양식 접근법으로 본 고전적 전환점과 해석 개념은 거의 혹은 전혀 무의미하다”며 “비서구 군사사가 역사적 공간에서 큰 몫을 차지할 뿐 아니라, 이에 대한 논의가 통념적 분석 방식을 뒤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예컨대 중국이나 오스만제국에서 서양만큼 요새 축성이 혁신적이지 못했던 건 군사 역량이 뒤처졌기 때문이 아니라, 그만큼 외부 공격에 덜 노출되는 환경이었고 전략적 우선순위가 달랐을 뿐이라는 것이다. 다만 덜 알려진 전쟁들을 접하다 보니 전체 맥락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경우도 생긴다.

셋째 전쟁사가 무기와 전투 기술의 역사로 국한되는 것을 경계하고 동맹의 배신과 역할, 국제정치의 역학, 국가 행정 및 병참 지원 역량 등 전략적 측면을 조명하는 데 더 비중을 두고 있다. 전쟁의 흐름을 바꾼 ‘결정적 전투’에 집중하기보다 여러 전투를 놓고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강조하는 형식이다.

아울러 대규모 전쟁의 단초가 될 요인들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있다. 예컨대 80억명에 가까운 인구, 이로 인한 물 등 자원부족 문제는 이미 한계치에 이른 것으로 여겨진다. 예멘에선 2015년 물 부족으로 반란이 일어 정부가 전복됐고, 이집트는 나일강 하류 수량 감소를 두고 에티오피아와 첨예한 대립을 벌이고 있다. 이런 국지적인 문제들이 언제, 어떻게 확전 양상을 띠게 될지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지금도 전쟁의 시대는 이어지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전쟁 중이고, 미국의 전쟁 억지력이 불확실해지면서 스웨덴, 핀란드 등 중립국들이 재무장을 시작했다. 우리 역시 “전쟁을 위해 (국민들의) 생활 수준을 쥐어짜고 있는 권위주의적이고 피해망상적인 나라” 북한, 군비 지출 세계 2위인 중국과 4위인 러시아(3위는 인도, 2019년 기준) 등에 둘러싸여 있다. 저자는 “과거에도 그랬듯 전쟁과 그것의 미래를 더 확실히 파악하려면 서양을 벗어나 훨씬 멀리까지 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손원천 기자
2022-05-27 1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