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 한 통에 30→50마리
2만원짜리 팔면 3000원 남아
콜라 서비스 없애니
단골손님 ‘눈치’

박씨는 “식용유뿐 아니라 생닭도 마리당 1000원씩, 생맥주도 2만ℓ에 7000원씩 올라 치킨집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모든 재료가 다 올랐다고 보면 된다”면서 “기름값을 아끼려고 식용유를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는 기름 정제기까지 사는 가게도 있다”고 말했다.
25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종합포털을 보면 오뚜기 콩기름 900㎖는 5023원으로 지난해 같은 시기(3674원)보다 26% 올랐고, 해표식용유 900㎖는 평균 4402원으로 지난해(4071원) 대비 7% 올랐다.
주재료인 식용유뿐 아니라 생닭 가격과 배달료까지 덩달아 올랐지만 이미 오를 대로 오른 치킨 값을 더 올리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보니 치킨집이 콜라 서비스를 중단하거나 기름 한 통으로 튀기는 닭 마릿수를 늘리면서 생존 경쟁에 들어갔다. 깨끗한 기름에 튀겨야 치킨 맛을 유지할 수 있지만 지금은 ‘맛’보다는 ‘생존’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서울 중구에서 치킨집을 운영하는 박모(64)씨는 지난달까지 튀김기에 한 번 식용유를 부을 때마다 치킨을 30마리씩 튀겼지만 최근에는 50마리로 늘렸다. 박씨는 “이제는 단골손님에게 음료수나 과일을 서비스로 내줄 인심을 부리기도 어려워졌다”고 토로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와 동시에 오른 배달앱 수수료와 배달료도 큰 타격이다. 종로구의 치킨집 사장 김모(57)씨는 “기존에 프로모션을 한다며 주문 한 건당 3% 수준이었던 배달앱 수수료가 최근 6%로 올랐다”며 “배달기사에게 지급하는 배달료도 따로 내야 하는데, 코로나19로 홀 손님이 줄어 배달을 안 할 수 없는 상황에서 무시할 수 없는 출혈”이라고 하소연했다.
치킨을 포장하는 상자와 콜라 등 제반 비용이 모두 오른 탓에 김씨네 치킨집에서 2만원짜리 치킨 한 마리를 팔면 순이익으로 약 3000원이 남는다. 김씨는 “창살 없는 감옥에서처럼 일하는데 막상 수익은 크게 나지 않아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양념치킨에 바르는 양념량을 줄여야 할지 고민할 정도”라며 울상을 지었다.
곽소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