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곽민수 한국 이집트학 연구소장
이 피라미드는 오늘날 ‘붉은 피라미드’라고 불린다. 외부를 감싸고 있던 외장석이 다 떨어져 나가고 내부 석재가 노출돼 피라미드가 붉은 색깔로 보인다는 이유 때문이다. 질 좋은 석회암으로 만들어졌던 외장석은 현재의 붉은 피라미드에서는 볼 수 없지만, 굴절 피라미드 하단부와 기자에 있는 카프라 피라미드 상단부에서는 오늘날에도 확인할 수 있다. 붉은 피라미드의 내부에서는 흥미로운 변화가 하나 나타난다. 그건 바로 현실, 즉 실제로 파라오의 시신이 매장됐던 공간의 방향이다. 피라미드는 거의 항상 북면에 입구가 만들어지고 그 입구에서부터 남쪽으로 나 있는 통로를 따라 들어가면 현실에 이를 수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 그리고 그렇게 도달하게 되는 현실 역시 남북 축으로 만들어져 있었다. 이것은 붕괴 피라미드와 굴절 피라미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는 모습이다. 굴절 피라미드의 경우에는 남북 축으로 만들어지는 입구-통로-현실도 있지만, 동서 축을 따르고 있는 입구-통로-현실도 있다.
이런 이중구조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이데올로기를 타협시켜 동시에 피라미드에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붉은 피라미드에서는 이중구조가 조금 더 형식화돼 나타난다. 입구-통로가 남북 축을 따라 만들어지는 데 반해 현실은 동서 축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붉은 피라미드에 처음 등장한 이 형식은 이후 피라미드에서도 계속 적용된다. 피라미드의 물리적 완성도는 쿠푸의 대피라미드에서 정점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피라미드 내부에 적용되는 이데올로기는 붉은 피라미드 단계에서 완성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