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국방부·합참 ‘불편한 동거’… 공간 협소해 정책실 등 핵심만 청사로

국방부·합참 ‘불편한 동거’… 공간 협소해 정책실 등 핵심만 청사로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22-05-19 20:44
업데이트 2022-05-20 02: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통령실 내준 국방부 가보니

운영지원·예산관실 분산 배치
공간 부족 부작용은 일단 해소

기자실 外 휴대전화 소지 못 해
보안앱 깔아야 청사 이동 가능

대통령실 방향에 이동형 펜스
군사·사복 경찰 행인 통행 주시

이미지 확대
서울 용산구 이촌역 인근에서 바라본 국방부 청사(옛 합동참모본부 건물). 대통령실에 청사를 내준 국방부가 이 건물로 이전하면서 국방부와 합참이 동거하고 있다. 앞에 있는 낮은 건물은 기존 국방시설본부 건물로 합참의 일부 부서가 입주했다. 연합뉴스
서울 용산구 이촌역 인근에서 바라본 국방부 청사(옛 합동참모본부 건물). 대통령실에 청사를 내준 국방부가 이 건물로 이전하면서 국방부와 합참이 동거하고 있다. 앞에 있는 낮은 건물은 기존 국방시설본부 건물로 합참의 일부 부서가 입주했다. 연합뉴스
19일 오전 8시 30분 서울 용산구 지하철 삼각지역 14번 출구를 나와 국방부 쪽 비탈길을 올라갔다. 윤석열 대통령 집무실이 이곳으로 이전하기 전과 다르게 교통을 통제하는 경찰과 검은 옷을 입은 군사경찰, 외곽 경비병의 모습이 눈에 띈다. 초록색 파라솔 밑에서 대통령 경호처의 지휘를 받는 경찰 경비대가 사복을 입은 채 행인들의 통행을 말없이 지켜보고 있었다.

국방부 서문에서 평소처럼 출입증으로 보안 게이트를 지나면 왼쪽으로 대통령실(옛 국방부 청사), 오른쪽으로 국방부(옛 합참 청사)가 나란히 서 있다. 하지만 대통령실 방향 인도에는 이동형 펜스를 쳐 놓고 통행을 금지하다 보니 대부분 국방부 쪽 인도를 이용하고 있다. 이처럼 길이 외길이다 보니 러시아워에는 보행 적체 현상이 빚어진다.

대통령실의 용산 이전에 따라 국방부와 소속기관, 합참 일부 부서도 연쇄 이동했다. 국방부 장관과 합참의장은 기존 합참 청사 3층에서 ‘동거’ 중이다. 합참의장은 기존 집무실을 장관에게 내주고 복도 건너편 사무실을 집무실로 쓰고 있다.

국방부 인원이 전부 합참 건물로 넘어오면서 기존 업무 공간이 비좁아질 것이란 우려가 있었지만, 국방부 인력과 합참 인력을 다른 장소와 건물에 재배치함으로써 이런 부작용을 해소했다. 국방부 계획예산관실과 운영지원과 등은 군사법원과 국방컨벤션으로 옮겼다. 국방부 전력자원관리실과 국방개혁실 등은 국방부 별관으로, 동원기획과와 군공항이전사업단 등은 근무지원단 건물로 이전했다. 기획조정실, 국방정책실, 인사복지실 등 기획·정책·인사 업무를 총괄하는 요직 부서는 합참 건물로 이동했다.

결과적으로 기존 합참 청사의 1, 3, 4, 5, 6층을 국방부가 쓰고 2, 7, 8, 9, 10층을 합참이 쓰는 구조로 바뀌었다.

국방부에 업무 공간을 내주기 위해 합참의 지원 부서 등이 나갔다. 인사와 전략본부 등 일부 부서를 중심으로 옆 건물인 합동전쟁수행모의본부를 비롯해 국방시설본부, 별관에 재배치됐다. 국군사이버사령부와 국군심리전단은 일단 별관에 머물지만, 국방부의 추가 이동 계획에 연계해 움직일 예정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영내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분산 배치했고 시설본부 등 일부 부서는 영내 밖으로 이동했다”고 했다.

국방부가 들어온 기존 합참 청사는 층마다 보안문이 설치돼 있어 이동이 엄격히 제한된다. 1층에 있는 기자실과 국방부 공보과를 제외하면 휴대전화를 갖고 다닐 수 없다. 휴대전화를 소지하고 들어가려면 보안 애플리케이션(앱)을 깔아야 한다. 심지어 10층에 있는 구내식당을 이용할 때도 휴대전화에 보안앱을 깔거나, 기자실에 놓고 올라가야 한다. 역시 장관과 합참의장 등 군 관계자를 청사에서 만날 때도 휴대전화를 접수처 위병에게 맡기고 보안검색대를 통과해 들어가야 한다.
문경근 기자
2022-05-20 6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