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무려 3주… 지금껏 없었던 평창대관령음악제 온다

무려 3주… 지금껏 없었던 평창대관령음악제 온다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2-05-16 22:06
업데이트 2022-05-17 09: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손열음 예술감독 기자간담회

‘마스크’ 주제로 7월 2일 막 올라
역대 최장… 극성수기도 피해 가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 풍성
“대관령에 늘 음악 흐르게 할 것”

이미지 확대
제19회 평창대관령음악제 예술감독인 피아니스트 손열음(오른쪽)과 박혜영 운영실장이 1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손 감독은 “코로나19로 해외 연주자들이 거의 참여하지 못했던 지난번과 달리 다양한 국적의 연주자들이 평창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제19회 평창대관령음악제 예술감독인 피아니스트 손열음(오른쪽)과 박혜영 운영실장이 1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손 감독은 “코로나19로 해외 연주자들이 거의 참여하지 못했던 지난번과 달리 다양한 국적의 연주자들이 평창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애스펀이나 잘츠부르크 음악제처럼 여름엔 항상 음악이 흐르는 축제가 됐으면 좋겠어요. 대관령에는 언제 가도 음악이 흐른다고 느끼셨으면 좋겠습니다.”

아름다운 대자연을 배경으로 하는 제19회 평창대관령음악제가 7월 2일부터 23일까지 평창 알펜시아콘서트홀을 비롯한 강원도 일대에서 열린다. 예술감독인 피아니스트 손열음(36)은 1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10여년간 7월 말~8월 초 사이 열렸던 음악제를 성수기 숙박난과 교통체증을 피하고자 올해는 7월 초에 시작해 22일간 이어 가려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음악제는 역대 최장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 강원도 원주 출신이기도 한 손 감독은 “강원도가 여행 ‘핫스폿’으로 급부상해 주말에 음악제를 찾으려면 왕복 10시간이 걸리는 일도 있었다”며 “음악제가 좋다면 언제든 찾아와 주는 분위기가 조성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전 세계적인 여름 음악 축제 기간을 피해 해외 예술가 섭외에도 이점이 있을 것이라고 봤다.

올해 주제는 ‘마스크’다. 손 감독은 “현재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될 가까운 오브제(물체)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니 마스크를 떠올리게 됐다”며 “고 이어령 선생님도 마스크가 있기 때문에 서로 보호할 수 있고, 서로 연결할 수 있다고 하셔서 공감이 됐다”고 말했다.

더욱 다양해진 프로그램들도 눈에 띈다. 음악제 첫날 알펜시아 뮤직텐트에서 열리는 개막 공연은 최근 세상을 떠난 작곡가 프레더릭 르제프스키와 조지 크럼(이상 미국)의 ‘대지에’와 ‘고래의 노래’로 막을 올린다. 국내 에스메 콰르텟과 프랑스 출신 모딜리아니 콰르텟이 멘델스존 현악 팔중주로 처음 합을 맞춘다. 손 감독은 “코로나가 끝나 가면서 하나의 시대가 지나가고 다음 시대가 온다는 생각에 최근 돌아가신 분들의 작품을 처음에 내세웠다”고 했다.

성악가들이 가곡을 부르는 ‘시와 음악의 밤’도 7일과 8일 두 차례 마련된다. 소프라노 임선혜와 러시아 출신 피아니스트 알렉산드르 멜니코프가 함께 공연하며 소프라노 홍혜란, 테너 최원휘, 손 감독이 슈만의 곡을 선보인다. 멜니코프의 피아노 리사이틀과 독일 첼리스트 레오나트 엘셴브로이히와 손 감독의 듀오 리사이틀 무대도 마련된다.

코로나19로 축소 운영됐던 음악 교육 프로그램도 부활한다. 특히 개별 악기를 가르치는 마스터클래스뿐 아니라 그동안 국내에서 거의 없었던 실내악과 오케스트라아카데미도 마련된다. 손 감독은 “독일에 살면서 어떤 악단이든 오케스트라아카데미가 있는 것을 보고, 독일 음악이 잘되는 이유라고 느껴서 우리도 그런 플랫폼을 만들어 보고자 했다”고 밝혔다.
하종훈 기자
2022-05-17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