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아파트 단지 전경.
전국의 부동산 매매 심리가 상승국면에 접어든 것은 지난해 11월(119.5) 이후 5개월 만이다. 지수는 보합, 하강 및 상승 국면 등 3개 국면, 9개의 등급으로 분류하는데 115 이상이면 집값이 오르기 시작하는 상승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본다.
서울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올해 들어 4개월 연속해 오르면서 123.7을 기록해 8.2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10월(128.7) 이후 6개월 만에 지수가 가장 높은 수준까지 상승했다. 수도권도 117.0으로 3.5포인트 상승해 5개월 만에 상승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완화 등 새 정부 주택정책 규제완화 정책으로 집값이 오를 것으로 보는 시각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비수도권은 114.5로 2.0포인트 올라 전월에 이어 보합국면을 유지했다. 충남(114.9→121.9)이 보합에서 상승국면으로 전환된 것을 비롯해 광주(120.6→123.1)와 경남(116.3→117.8)이 상승국면을 이어가며 전달보다 올랐다. 반면, 대구와 충북, 제주, 전북은 내렸다.
국토연구원은 “대선 이후 재건축 규제가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강해지면서 서울과 수도권의 주요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 상승 기대감이 커진 것이 지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