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99.9% 폭락’ K코인에 전 세계 시장 흔들… “법 제정” 뒷북치는 당국[뉴스 분석]

‘99.9% 폭락’ K코인에 전 세계 시장 흔들… “법 제정” 뒷북치는 당국[뉴스 분석]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22-05-15 22:04
업데이트 2022-05-16 0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휴지조각 된 루나·테라發 쇼크

루나 상폐… 전체 시총 258조 증발
비트코인은 3900만원대 보합세
국내외서 차익 노린 ‘죽음의 단타’
권도형 “내 발명품이 고통 줘 비통”
당국, 규정 미비에 대응 수단 없어

이미지 확대
한때 가상자산(암호화폐) 시가총액 순위 10위권 내에 있었던 한국산 코인 ‘루나’와 스테이블 코인 ‘테라USD(UST)’의 대폭락으로 전 세계 암호화폐 시장이 휘청거리고 있다. 일각에서 이번 폭락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촉발한 리먼 브라더스 사태에 견주자 금융당국이 뒤늦게 긴급점검에 나섰지만 관련 법이나 규제가 없어 사실상 할 수 있는 게 없는 상태다.

15일 글로벌 암호화폐 시세정보 제공 사이트 코인마켓캡에서 루나와 테라의 가격은 각각 0.0003달러(약 0.34 27원)와 0.1779달러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5일 119달러까지 치솟았던 루나는 지난 7일 하락세에 접어든 후 불과 나흘 만에 1달러 미만으로 떨어졌다. 이후 사실상 0원에 가까운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코인발행사 테라폼랩스가 발행한 테라는 코인 1개당 가치가 1달러에 연동되도록 설계된 ‘스테이블 코인’이다. 루나는 이러한 테라를 뒷받침하는 용도의 자매 코인인데, 테라의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루나를 소각하거나 발행하는 식으로 알고리즘이 짜여 있다. 이번 사태는 지난 7일 테라의 가격이 1달러보다 떨어지는 ‘디페깅’ 현상이 발생하며 촉발됐다. 불안해진 투자자들이 루나를 팔아 치우며 결국 가격이 99.99% 이상 폭락하게 된 것이다.

그 여파로 전 세계 암호화폐 시장도 흔들렸다. 지난 12일 암호화폐 시장의 전체 시가총액이 하루 만에 2000억 달러(약 258조원) 이상 증발했고, 대표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의 가격도 2만 6000달러(약 3400만원) 선까지 떨어졌다.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는 루나와 테라를 상장폐지하기도 했다. 15일 비트코인은 3900만원대에서 보합세를 보이며 충격을 흡수하는 모양새다. 하루 만에 루나와 테라의 거래를 재개한 바이낸스와 국내 거래소에서는 루나의 상장폐지가 이뤄지기 직전까지 차익을 얻으려는 ‘죽음의 단타’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한국의 일론 머스크’라 불리던 테라폼랩스의 권도형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4일 트위터를 통해 “내 발명품(루나·테라)이 여러분 모두에게 고통을 줘 마음이 아프다”며 “여전히 탈중앙화 경제에서 탈중앙화 통화가 마땅하다고 생각하지만 현재 형태의 UST는 그런 돈이 아닐 것이라는 점이 분명하다”며 자신의 실패를 인정했다.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긴급 동향 점검에 나섰다고 밝혔다. 그러나 코인 거래가 민간 자율에 맡겨져 있는 상황이라 정부가 개입할 법적 근거는 없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루나 사태와 관련해 전체적 상황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동향 점검을 하고 있지만 당장 정부 차원에서 대응할 수단은 없다”고 말했다. 다만 당국이 추진 중인 디지털자산기본법 제정에 이번 사태가 주요하게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 법은 가상자산 시장 확대로 불공정 거래, 불완전 판매, 해킹 등 범죄행위로부터 이용자를 보호할 필요성이 커진 상황에서 투자자가 안심하고 디지털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정부는 올해 주요국 중앙은행·국제결제은행(BIS) 등 글로벌 논의 동향을 고려한 후 내년에 관련 법 제정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민나리 기자
2022-05-16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