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최고존엄’ 김정은도, 코로나19 앞에선 고집 꺾었다

‘최고존엄’ 김정은도, 코로나19 앞에선 고집 꺾었다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2-05-12 18:16
업데이트 2022-05-12 18: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2일 열린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8차 정치국회의에서 김 위원장이 마스크를 착용했다. 조선중앙TV
12일 열린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8차 정치국회의에서 김 위원장이 마스크를 착용했다. 조선중앙TV
‘노 마스크’ 고집 김정은
정치국 회의엔 쓰고 나왔다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이 12일 열린 당 중앙위원회 8기 8차 정치국 회의에 마스크를 쓰고 등장했다.

‘최고존엄’인 그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결국 고집을 꺾은 것이다. 김 위원장이 공식 행사에 마스크를 쓴 모습으로 나타난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경우다.

이날 북한 조선중앙TV가 보도한 당 중앙위 정치국 회의 보도에서 김 위원장은 의료용 마스크를 착용한 채 서류를 들고 회의장에 나타났다.

미리 회의장에 들어와 대기하고 있던 간부들도 모두 마스크를 쓰고 있었다. 회의장 문 앞에서 김 위원장에게 문을 열어주는 현송월 당 부부장도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였다.
12일 열린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8차 정치국회의에서 김 위원장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회의장에 입장하고 있다. 조선중앙TV
12일 열린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8차 정치국회의에서 김 위원장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회의장에 입장하고 있다. 조선중앙TV
회의 시작 이후에는 김 위원장만 마스크를 벗었다. 중간에 잠시 일부 참석자가 마스크 없이 등장한 것 외엔 조용원·김덕훈·리일환 등 주요 간부들 전원이 마스크를 착용한 채 회의가 진행됐다.

앞서 북한은 코로나19 확산 시기 일반 대중 대상 대규모 행사 외 주요 대면 정치 일정은 대체로 마스크 없이 진행해 왔다. 김 위원장은 물론 주요 동석 간부들도 노 마스크로 비춰졌다.

하지만 북한 내 오미크론이 발생, 최대 비상방역 체계 이행에 나선 만큼 김 위원장 마스크 착용 모습을 연출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회의 후 퇴장할 때 다시 마스크를 쓰고 나섰다.

북한, 코로나19 감염자 발생…“자기 지역 철저 봉쇄” 주문
이날 북한 매체는 지난 2019년 말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확진자가 발생한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최근 북한에선 김일성 주석 생일(4월 15일) 110주년, 조선인민혁명군(항일 빨치산) 창설 90주년(4월 25일) 등을 계기로 열병식 등 대규모 인원이 집결하는 행사가 잇따라 열렸다.

이들 행사 참석자들이 거의 모두 ‘노마스크’였다는 점에서 자칫 대규모 확산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분석이다. 북한은 지금까지 코로나19 확진자가 한 명도 없다고 주장해왔다.

북한은 지난 8일 평양의 한 단체 발열자들을 검사한 결과,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BA.2와 일치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확진자 규모를 밝히지 않았지만, ‘발열자들’이라고 한 사실로 볼 때 확진자가 다수일 가능성이 높다. 이미 집단 감염이 발생했을 수도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열병식 참가 청년들을 향해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치켜들고 있다. 조선중앙TV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열병식 참가 청년들을 향해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치켜들고 있다. 조선중앙TV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불리는 BA.2는 기존 오미크론보다 전파력이 30∼50%가량 더 센 것으로 알려졌다.

검사는 지난 8일에 이뤄졌지만, 잠복기 등을 고려하면 4월 말∼5월 초에는 이미 감염됐을 수도 있다. 이때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열병식을 마친 참가자들과 기념사진을 찍는 등 관련 행사가 이어지던 시점이다.

김 위원장은 열병식 행사에 참석한 수만 명의 청년을 평양으로 다시 불러 지난 1일 ‘릴레이 사진’을 찍었다. 사진 속의 김정은은 물론이고, 청년들도 모두 ‘노마스크’였다.

한편 북한은 이번 오미크론 발생 대책 중 하나로 ‘전국 모든 시, 군의 자기 지역 철저 봉쇄’를 주문했다. 이는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과 다소 유사한 정책 방향으로 평가될 수 있는 지점이다.
김채현 기자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