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생활건강 관계자는 “정치, 경제 분야에서 최악의 상황이 전개되었던 중국 영향으로 뷰티 사업의 성장이 어려웠다”면서 “다만 다른 사업 부문이 그나마 견고한 실적을 이어나가며 중국 영향을 일부 상쇄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뷰티(화장품)사업은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어려움이 지속된 중국의 영향으로 매출은 6996억원, 영업이익은 690억원을 기록했다. 중국 실적을 제외하면 6.4% 감소, 영업이익은 0.7% 감소했다.
홈·데일리뷰티 매출은 지난해보다 6.1% 성장한 5526억원, 영업이익은 16.6% 감소한 552억원을 기록했다. ‘벨먼’, ‘엘라스틴’, ‘피지오겔’ 등 탄탄한 수요를 가진 프리미엄 데일리뷰티 브랜드들과 시장 선두 입지를 가진 홈케어 브랜드들이 선전하며 높은 성장세를 달성했지만 원부자재 가격과 물류비 상승에 따른 원가부담으로 영업이익 증가는 어려웠다는 설명이다.
리프레시먼트(음료)사업의 매출은 같은 기간 대비 9.9% 성장한 3927억원, 영업이익은 2.6% 성장한 514억원을 달성했다. 높은 성장을 보인 ‘코카콜라‘와 지난해에 이어 두자릿수의 성장률을 기록한 ‘몬스터 에너지’가 성장을 견인했다.
명희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