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우토로 방화 일본인…“재일 한국인에게 공포감 주고 싶었다”

우토로 방화 일본인…“재일 한국인에게 공포감 주고 싶었다”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2-05-11 12:18
업데이트 2022-05-11 13: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방화로 불타버린 우토로 주택
방화로 불타버린 우토로 주택 지난해 8월 한국인 혐오 방화로 불타버린 우토로 주택.
교토 김진아 특파원
“재일 한국인에게 공포감을 주고 싶었다.”

재일 조선인의 집단 거주지인 일본 교토부 우지시 이세다초 51번지 이른바 우토로 마을 화재 범인인 아리모토 쇼고(22)가 범행 동기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마이니치신문은 오는 16일 교토지법에서 열리는 아리모토의 공판 전 그를 면담하고 서신을 통해 범행 동기를 취재한 뒤 11일 보도했다.

우토로 마을은 1940년대 일본 정부가 교토 군사비행장 건설을 위해 재일 조선인 1300여명을 동원했고 이들이 모여 살던 지역을 말한다. 이들은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패망하고 비행장 건설이 중단되면서 버려졌는데 고향에 돌아가지 못한 이들이 서로 의지하며 살아간 곳이 바로 우토로다.

나라현 사쿠라이시의 한 병원에서 근무하던 아리모토는 지난해 8월 30일 우토로 마을의 빈집에 불을 지른 혐의로 구속됐다. 당시 화재로 빈집과 창고 등 건물 7채가 불탔고 사상자는 없었다. 하지만 지난달 30일 개관한 우토로평화기념관에 전시하려 했던 우토로 마을과 관련된 자료가 상당수가 소실됐다. 이 때문에 기념관에는 사진 자료로 전시를 대체한 것이 많았다. 아리모토는 지난해 7월에도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아이치본부 건물 등에 불을 지른 혐의로 기소된 바 있다.

그는 이 모든 범행을 인정했다. 그는 이 신문에 “(재일 한국인이) 일본에 체류하는 것은 비난을 받아 마땅하다”며 “공포감을 주고 싶었다”라고 말했다.

그가 우토로 마을에 방화를 저지르려고 했던 것은 범행 당시 우토로평화기념관이 개관한다는 소식을 뉴스에서 보면서다. 아리모토는 “(우토로 마을) 철거 반대 운동 등의 역사를 담은 간판류가 기념관에 전시된다는 사실을 듣고 정당성이 없는 이런 것들이 전시되는 건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다”고 방화를 저지른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재일조선인 합숙 시설 함바
재일조선인 합숙 시설 함바 30일 일본 교토부 우지시 이세다초 51번지 우토로평화기념관 앞마당에 놓인 1940년대 재일조선인 합숙 시설 ‘함바’ 모습.
교토 김진아 특파원
우토로 마을에는 낡은 집들이 밀집돼 있어 자칫하면 대형 화재로 번질 수 있었다. 이에 대해 아리모토는 “부상자나 사망자를 낼 생각은 전혀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기념관 개관까지) 시간이 없어 (방화는) 어쩔 수 없었다”라고도 했다.

그는 재일 한국인을 증오하는 데 대해 허무맹랑한 주장만을 일삼았다. 아리모토는 “한국인이나 재일 한국인이나 반일이 적지 않다”며 “그들은 옛날에 밀입국했던 일이 있어 문제다. 가령 일본에서 태어난 2세나 3세도 모두 똑같다”라고 근거 없이 주장했다.

이어 “조선학교는 반일 교육을 하고 있고 그 유지에 연간 수백억엔의 돈이 헛되이 사라지고 있다”고도 했다. 하지만 조선학교는 일본의 고교 수업료 무상화 대상에서 배재돼 지자체의 보조금이 중단되는 등 오히려 다른 외국인 학교에 비해 불합리한 대우를 받고 있어 아리모토의 주장은 잘못된 것이다.

마이니치신문은 아리모토가 저지른 것은 증오 범죄로 사회 문제에 관심은 많지만 인터넷상의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 폭주해 범죄를 저질렀다고 지적했다. 도쿄변호사회 소속 모로오카 야스코 변호사는 “이번 사건은 명백한 증오 범죄”라며 “피해자뿐만 아니라 재일 한국인 커뮤니티에 ‘자신들이 표적이 될 수 있다’는 두려움을 줬다는 점에서 그 피해는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도쿄 김진아 특파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