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아이들의 결핍·간절함 해소해 주고 싶다” [어린이 책]

“아이들의 결핍·간절함 해소해 주고 싶다” [어린이 책]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2-05-05 20:22
업데이트 2022-05-06 00: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0만부 돌파 ‘만복이네 떡집’ 시리즈 김리리 작가

둥실이네 떡집/김리리 지음/비룡소/88쪽/1만 1000원

“사랑받고 인정받고 싶은 아이
욕망이 억압됐을 때 문제 생겨”
소원 해결 신기한 떡집에 열광
6권에선 ‘반려동물 죽음’ 다뤄
이미지 확대
김리리 동화작가가 지난 3일 서울 강남에 있는 비룡소 출판사에서 ‘만복이네 떡집’ 시리즈를 들고 책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안주영 전문기자
김리리 동화작가가 지난 3일 서울 강남에 있는 비룡소 출판사에서 ‘만복이네 떡집’ 시리즈를 들고 책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안주영 전문기자
“‘만복이네 떡집’ 시리즈는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결핍과 간절함을 해소해 주기 위해 썼어요.”

전국 초등학교, 어린이 도서관의 강연 섭외 1순위인 김리리 동화작가가 최근 ‘만복이네 떡집’ 시리즈의 여섯 번째 이야기인 ‘둥실이네 떡집’을 펴냈다. 지난 3일 서울 강남에 있는 비룡소 출판사에서 만난 작가는 ‘동심’에 대한 이야기로 입을 뗐다.

“동심을 착하고 아름답게만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저는 동화작가가 아이들의 욕망에 주목해야 한다고 늘 말해요. 사실은 사랑받고 싶고, 인정받고 싶고, 성장하고 싶고, 놀고 싶고 이런 게 아이들의 욕망이거든요. 이게 결핍되거나 억압됐을 때 잘못된 방향으로 가게 되고 타자의 욕망을 좇으면 문제가 생기는 거죠.”

누구보다 아이들의 갈증에 집중하고 그 부분을 시원하게 풀어내서일까. ‘만복이네 떡집’ 시리즈는 누적 판매 100만부(시리즈 전체)를 돌파해 국내 창작 동화 시리즈의 새로운 기록을 쓰고 있다. 특히 1권인 ‘만복이네 떡집’은 초등학교 3학년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절대 편이 되어 주는 절편’, ‘용기가 용솟음치는 용떡’, ‘다른 사람 생각이 쑥떡쑥떡 들리는 쑥떡’ 등 고민과 걱정이 생긴 아이들의 소원을 들어주는 떡이 있는 신기한 떡집이 있다. 떡을 먹은 아이는 소원이 이뤄진다. 떡집 시리즈의 기본 플롯은 한결같지만, 여섯 편의 이야기를 지나오며 달라진 점도 있다. 아이들에게 떡을 주는 역할을 처음에는 삼신할머니가 했다면 3권 ‘소원 떡집’부터는 꼬랑쥐라는 몸집이 작고 볼품없는 쥐가 대신한다는 점이다. 또 4권 ‘양순이네 떡집’부터는 꼬랑쥐의 역할이 단순한 떡 배달에서 떡을 만드는 일로 바뀐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꼬랑쥐는 작가의 분신 같은 존재다. “저도 어릴 때 꼬랑쥐처럼 몸이 많이 약했고 마르고 까만, 볼품없는 아이였거든요. 아버지가 한글을 가르치다가 중간에 포기하셨을 정도로 아주 느린 아이였어요. 꼬랑쥐는 어차피 쥐답게 살지 못할 바에 차라리 인간이 되고 싶다는 꿈을 꾸는 존재예요. 아이들의 손톱을 먹으면서 아이들의 고민에 대해 알게 되고 그들을 돕게 되는 거죠.”

특히 이번 6권에서는 죽음을 소재로 다뤘다는 것도 주목할 점이다. 죽음은 아이라고 해서 피해 갈 수 없는 문제이지만, 동화에서 다루기엔 까다로운 소재다. 그는 “좀 어두운 이야기이고 무겁기도 해서 아이들이 이걸 볼 수 있을까 고민을 많이 했다”면서도 “코로나19 확산으로 학교도 못 가고 친구도 못 만나는 상황에서 반려동물에 대한 아이들의 관심이 높아지며 실제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아이들도 많아졌다. 5권 ‘달콩이네 떡집’이 유기견을 키우게 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그렸다면, 6권 ‘둥실이네 떡집’에서는 반려묘와의 헤어짐, 이별에 대한 이야기를 썼다”고 설명했다.

6권이 다음 권에 대한 예고 없이 끝나면서 ‘혹시 시리즈가 끝나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을 남겼다. 다음 편을 손꼽아 기다리는 어린이 독자를 위해 작가는 다음 이야기를 살짝 귀띔했다. “‘만복이네 떡집’ 시리즈를 하면서 내가 정말 아이들의 고민을 다 담아내고 있나, 놓치고 있는 부분은 없을까 고민해요. 다음 편에서는 아마 꼬랑쥐를 도와주는 누군가가 등장하지 않을까요. 꼬랑쥐가 그동안 너무 힘들었잖아요. 그렇죠?”
윤수경 기자
2022-05-06 17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