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尹측, 靑 제2부속실 폐지 공식화… 김건희 여사, 조용한 행보 나설 듯

尹측, 靑 제2부속실 폐지 공식화… 김건희 여사, 조용한 행보 나설 듯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22-03-31 17:56
업데이트 2022-04-01 01: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2부속실 폐지는 폐지… 尹 공약”
새 정부 영부인, 대외활동은 자제
봉사활동 등 하며 역할 소화할 듯
‘일하는 퍼스트레이디’ 가능성도

이미지 확대
‘새 정부 과제’ 제안서 받은 권영세 인수위 부위원장
‘새 정부 과제’ 제안서 받은 권영세 인수위 부위원장 권영세(오른쪽)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이 3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22년 4대 학회 공동학술대회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새 정부의 과제’에서 4대 학회장들로부터 제안서를 전달받은 뒤 한상만 한국경영학회 회장과 악수하고 있다.
뉴스1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이 31일 대통령 부인을 보좌하는 청와대 제2부속실의 폐지를 공식화했다. 김건희 여사도 ‘대외 활동을 자제할 것’을 예고한 만큼 대통령으로부터 독립적이면서도 조용한 행보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윤 당선인의 제2부속실 폐지 대선 공약에 대한 질문에 “윤 당선인의 입장이자 공약이었다”며 “폐지는 폐지다. 그 말씀 그대로 받아들여 달라”고 답했다.

앞서 대선후보 시절 윤 당선인은 제2부속실을 없애고 영부인 호칭도 쓰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김 여사도 지난 10일 윤 당선인의 당선 직후 언론 인터뷰에서 “영부인이라는 호칭보다 대통령 배우자라는 표현이 좋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대통령 부인의 일정 관리와 활동 수행, 연설 등을 담당하는 제2부속실이 폐지될 경우 대통령 부인의 공적 활동도 자연스럽게 축소될 수밖에 없다. 김 여사가 지난해 12월 대국민 사과를 한 뒤 대선 기간 공식 석상에 등장하지 않았던 것의 연장선상에서 대통령 부인으로서도 공개 활동을 자제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김 여사는 윤 당선인의 당선 이후 일부 언론과의 서면 인터뷰나 선거대책본부를 통한 메시지 전달 외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김 여사는 오는 5월 10일 취임식에 참석하는 것을 기점으로 점차 활동 반경을 넓힐 것으로 보인다. 김 여사가 취임 후 관저에서 조용히 내조만 하는 데 그치지는 않을 것이란 얘기다. 김 여사는 윤 당선인의 당선 직후 낸 메시지에서 “대통령이 국정에 전념하실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대통령 배우자의 최우선 역할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여건이 허락한다면 정부의 손길이 미처 닿지 못한 소외계층이나 성장의 그늘에 계신 분들의 문제를 함께 고민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대외 활동은 자제하면서도 대통령의 일정과 행보와는 별개로 봉사활동 등의 역할을 소화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김 여사가 직업을 가진 최초의 대통령 부인인 만큼 역대 대통령 부인이 가지지 못했던 ‘일하는 퍼스트레이디’상을 구현할 가능성도 있다. 미술 전시 기획사인 코바나컨텐츠의 대표인 김 여사는 당선 직후 회사를 영리 목적으로 운영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미술 전시기획자로서의 전문성을 살려 공익적 활동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김 여사가 아무리 조용한 행보를 하려 해도 대통령의 해외 순방이나 외국 대통령의 방한 행사에는 대통령 부인이 동석하는 게 관례여서 어떤 식으로든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낼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 관계자는 “대통령 당선인의 부인이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그만큼 대중들의 호기심이 커지는 기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대통령 취임식에서 가장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사람은 김 여사일 수도 있다”고 했다.
박기석 기자
2022-04-01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