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당 의원 “러시아와 신냉전… 美 억지력 안 보여”
러시아 측 “제재 시 미·러 관계 완전한 단절” 경고
연쇄 회담 돌파구 못 찾자 쿠바 핵 배치 등 우려도
美 연구원 “적국 줄일 필요… 러 몰아붙이지 말아야”

▲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 조 바이든(가운데) 미국 대통령.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 AP 연합뉴스
16일(현지시간) 미 하원 외교위 공화당 간사인 마이클 매콜 의원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러시아와 새로운 냉전을 벌이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려 한다면 지금이 적기라는 걸 알고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미국은 러시아에 대한 동맹 경제 제재 등 한층 강력한 행동 가능성을 꺼내 들기 시작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날 CBS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 시 가혹한 경제적 후과가 불가피할 것”이라며 “러시아에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했다”고 단언했다.
그러나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 대변인은 이날 CNN에 “러시아에 대한 미국의 제재는 양국 관계의 완전한 단절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 “큰 실수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우크라이나 국경에 10만명에 이르는 병력을 집결한 것과 관련해선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의 군사 훈련 등으로 생성된 비우호적 분위기를 감안할 때 군대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양측의 대립은 지난 9~13일 연달아 열린 러시아와 미국·나토 간 회담이 아무런 돌파구를 찾지 못한 채 종료된 직후 이어진 것이다. 13일 미·러·우크라 등이 모두 참여한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회담 후 마이클 카펜터 OSCE 미국 대사는 “전쟁의 북소리가 요란하게 들리고 있다”고 우려했다. 러시아가 쿠바 등 미국 인근에 핵미사일을 배치하는 것도 실현 가능성 높은 시나리오라는 관측이 나온다.

▲ 16일(현지시간) 스웨덴군 병사들이 발트해에 위치한 고틀란드섬 북부 비스뷔의 도로에서 전차를 타고 순찰하고 있다. 비스뷔 AP 연합뉴스
이정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