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은행·증권사부터 통신사까지 뛰어든 ‘마이데이터’…내게 맞는 서비스는 무엇일까

은행·증권사부터 통신사까지 뛰어든 ‘마이데이터’…내게 맞는 서비스는 무엇일까

송수연 기자
송수연 기자
입력 2022-01-07 15:34
업데이트 2022-01-25 17: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흩어져 있는 개인 금융정보를 한데 모아 볼 수 있는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최근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은행·증권사 등 기존 금융권부터 빅테크, 통신사까지 마이데이터 사업에 뛰어들며 고객 선점에 나선 상황이다. 각 업체가 내놓거나 출시할 예정인 마이데이터만 50여 개에 달한다. 한 곳에서 금융정보를 모아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같지만, 업체별로 차별화를 위해 주력하고 있는 서비스는 조금씩 다르다.
KB국민은행이 마이데이터를 출시하면서 내놓은 ‘목표챌린지’ 서비스
KB국민은행이 마이데이터를 출시하면서 내놓은 ‘목표챌린지’ 서비스
KB국민은행은 마이데이터를 출시하면서 ‘목표챌린지’ 서비스를 도입했다. 나의 자산과 지출내역을 분석, 진단해 개인화된 목표를 제안하고 내가 목표한 금액까지 도달할 수 있게 돕는 서비스다. 배달음식 줄이기, 한달 예산으로 살기, 택시 탈 때마다 자동저축하기 등 흥미로운 챌린지도 제공한다. 특히 ‘목표챌린지’와 연계한 전용상품 ‘My 저금통’을 통해 비교 그룹이 나와 비교해 얼마나 더 많이 저축을 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신한은행은 마이데이터 브랜드로 ‘머니버스’를 내걸었다. 본인의 예상 금융일정, 예상잔액뿐만 아니라 공모주, 아파트 청약, 리셀 할 수 있는 나이키 드로우 날짜까지도 보여주는 ‘MY캘린더’로 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카드, 페이, 멤버십 등의 다양한 포인트 현황을 한눈에 제공해 자투리 자금을 찾을 수 있는 ‘포인트 모아보기’도 눈에 띈다.

우리은행이 출시한 ‘우리마이데이터’ 서비스는 ‘미래의 나’를 통해 결혼, 출산, 자동차, 주택, 조기은퇴 등 여덟 가지 상황에 따라 자산 변화 예측 결과를 제공한다. NH농협은행의 ‘NH마이데이터’는 금융플래너 기능과 내년 소비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연말정산 컨설팅 서비스로 차별화했다. 하나은행은 하나금융그룹 계열사가 참여하는 공동 마이데이터 서비스인 ‘하나합’을 통해 시장에 진출했다. ‘재테크’와 ‘은퇴 준비’ 서비스에 초점을 맞췄다.

증권사들은 전문성을 살려 투자쪽에 좀 더 특화한 모습이다. 증권사 중 최초로 마이데이터 사업권을 따낸 미래에셋증권은 ‘올인원 투자진단보고서’를 통해 여러 증권사에 흩어진 종목을 한눈에 확인하고, 고객의 투자 패턴과 성과를 비교·분석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국투자증권 마이데이터 서비스 ‘모이다’(moida)
한국투자증권 마이데이터 서비스 ‘모이다’(moida)
한국투자증권도 ‘모이다’(moida)를 공식 출시했다. 모이다는 ‘일상 속의 투자’를 콘셉트로 했다. 소비 패턴 분석을 통해 추천 종목을 제안하고 실물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하면 관련 기업의 투자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갖췄다. 코카콜라·애플·구글 등 주요 글로벌 기업의 역사, 섹터별 투자 가이드 등의 콘텐츠도 제공할 예정이다. NH투자증권은 ‘투자성과리포트’와 ‘나의 소비’ 등을 통해 고객이 보유한 상품을 분석하거나 현금 흐름 분석을 통해 자산 관리를 돕는다.

보험업계에서는 교보생명과 KB손해보험이 각각 이달과 오는 3월 안에 정식 서비스를 선보이는 것을 목표로 마이데이터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통신사 중에는 LG유플러스가 마이데이터 사업 진출을 위해 지난해 말 금융위원회에 본인신용정보관리업 예비허가를 신청한 상태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현재 마이데이터 서비스 초기 단계로 각사마다 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본인의 소비, 투자 성향에 따라 비교해보고 맞는 서비스를 선택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수연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