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단한 문장 안, 해석하는 이의 필치… 詩 비평 혜안 봐

단단한 문장 안, 해석하는 이의 필치… 詩 비평 혜안 봐

입력 2022-01-02 17:00
업데이트 2022-01-03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22 신춘문예 평론 심사평] 유성호 이경수

이미지 확대
평론 부문을 심사한 유성호(왼쪽)·이경수 문학평론가. 사진 촬영을 위해 잠시 마스크를 벗었다.  오장환 기자
평론 부문을 심사한 유성호(왼쪽)·이경수 문학평론가. 사진 촬영을 위해 잠시 마스크를 벗었다.
오장환 기자
응모작들은 예년에 비해 내용과 수준이 다소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특별히 페미니즘, 청년, 인공지능 등 시의적인 이슈들을 다양하게 다룬 점은 인상적이었다. 약속이나 한 듯이 다양한 작가와 시인, 현상과 담론 등을 저마다 추적해 완미한 비평문을 완성한 사례가 많았다. 그러나 심사위원들은 담론적 추수 경향이나 지나치게 이론 현시를 보이는 비평보다는 작품 내적 논리를 충실하고도 꼼꼼하게 읽어내는 글에 호감을 가지고 응모작들을 읽어 나갔다. 그 결과 스스로의 해석적 언어에 오랜 시간과 정성을 쏟았을 평론들이 침체기에 있는 한국 평단을 환하게 밝힐 것으로 기대하게 됐다.

심사위원들은 그 가운데 세 편의 글을 오래도록 주목했는데, 숙의 끝에 상대적으로 언어적 안정감을 가지고 한 시인의 시 세계를 정치하게 분석한 염선옥씨의 ‘몸의 기억으로 ‘나 사는 곳’을 발견해 가는 언어’를 당선작으로 결정하게 됐다. 이 평론은 신미나 시의 독특한 자리를 개성적으로 파악해 단단한 문장 안에서 그것을 해석하는 이의 시선과 필치를 증명해 주었다. 앞으로 시 비평의 극점을 향해 나아갈 혜안과 역량을 가졌다고 판단했다. 함께 경쟁한 ‘포스트모던 러브 기어’는 세 여성 작가의 소설을 통해 남성 중심의 신화적 상상력을 뒤집어 읽는 역량을 보여 주었다. 다만 불필요한 이론 서술이 많아 글의 긴장감이 조금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리고 ‘다시 차오르는 코르푸스의 시학’은 ‘몸’에 착안해 김수영, 문보영 시인을 함께 논의해 본 의욕적인 글이다. 다만 문장이 불안정하고 왜 김수영과 문보영이 연결되는지에 대한 해명이 더 드러났어야 한다는 아쉬움이 따랐다.

당선작이 되지 못했으나 문장력과 문제의식을 두루 갖춘 사례들이 많았다는 점을 부기한다. 담론을 좀더 일상 쪽으로 구체화해 우리 주위에서 살아가는 타자들을 애정 깊게 응시한 결실들도 여럿 있었다. 다음 기회에 더 풍성하고 빛나는 성과가 있을 것을 기대하면서 응모자 여러분의 힘찬 정진을 마음 깊이 당부드린다.



2022-01-03 44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