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리스크 줄인 코인 투자? ‘비트코인 ETF’ 해볼까

리스크 줄인 코인 투자? ‘비트코인 ETF’ 해볼까

송수연 기자
송수연 기자
입력 2021-10-27 20:18
업데이트 2021-10-28 0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기 높아진 ‘비트코인 선물 ETF’

암호화폐 계좌 없이 증권사 통해 거래
美 ‘프로셰어스’ 상장 비트코인 상승세
투자 땐 현물시장과의 괴리·세금 등 주의
이미지 확대
미국 최초 비트코인 선물 상장지수펀드(ETF)의 등장으로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면서 국내 투자자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국내 투자자가 비트코인 선물 ETF에 투자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해외 ETF 상품을 사려면 국내 증권사에서 해외 증권계좌를 개설해야 한다. 일반주식 거래를 하듯 ETF 상품의 종목코드를 검색해 매매할 수 있다. 정규 거래시간은 서머타임이 적용되는 3월 15일~10월 30일은 오후 10시 30분~오전 5시, 그 밖에는 오후 11시 30분~오전 6시다.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로 돈을 입금할 필요도 없이 해외 증권계좌만 있으면 암호화폐 관련 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셈이다.

현재 가장 인기 있는 비트코인 선물 ETF는 미국 자산운용사인 프로셰어스의 ‘프로셰어스 비트코인 스트래터지 ETF(BITO)’다. 1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되고 이틀 후 비트코인 가격이 6만 6909달러를 찍었다. 암호화폐의 제도권 진입 기대감이 높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발키리의 비트코인 선물 ETF(BTF)도 지난 22일부터 나스닥에서 거래를 시작했다. 이 외에 반에크 등의 자산운용사가 비트코인 ETF를 출시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상장한 비트코인 ETF는 캐나다에서 등장했다. 퍼포스 인베스트먼트의 ‘퍼포스 비트코인 ETF(BTCC)’다.

캐나다는 이달 초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같이 보유하는 ETF 상장에 대해서도 승인했다. 지난해 독일에서는 ‘ETF의 동생’ 격으로 불리는 비트코인 상장지수증권(ETN)인 ‘반에크벡터비트코인(VBTC)’도 상장됐다. 미국 외에 해외 비트코인 ETF는 일부 증권사에서 유선으로만 주문 가능하기 때문에 확인이 필요하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서학개미’(해외 주식거래를 하는 개인투자자)들은 미국에서 비트코인 ETF가 상장된 날부터 이틀여 동안 2141만 달러(약 252억원)를 순매수했다. 순매수 규모로만 봤을 때 애플, 알파벳(구글 모회사)을 제치고 해외 주식 3위를 기록했다. 증권사 관계자는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많이 올라 기대감이 커졌고, ETF는 분산투자가 가능해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고 판단한 투자자들로부터 인기를 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내에서는 현행법상 암호화폐 기반 ETF 상품이 출시되기 어렵기 때문에 당분간 해외 상품에 대한 관심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비트코인 가격이 조정을 받으며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해외에서는 앞으로도 상승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이 나온다.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멕스의 알렉산더 호프너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이 연말까지 10만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글로벌 증시를 흔드는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상승)에 대한 새로운 헤지(위험회피)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단 비트코인 선물 ETF 투자 때 주의해야 할 점도 많다. BITO를 포함해 비트코인 선물 ETF는 직접 투자하는 것이 아닌 선물 투자 방식이라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KB자산운용 관계자는 “24시간 거래되는 현물 시장과 달리 선물로 운영되는 ETF 시장은 거래 시간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현물과 선물 사이의 괴리가 발생할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또 미국 ETF는 해외 주식과 세금 부과 원칙이 같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1년간 해외 ETF를 통해 얻은 매매 이익과 손실을 계산한 뒤 차익에 양도소득세 22%를 매긴다. 250만원까지는 면세된다.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2021-10-28 2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