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지 노동신문에 공개...대내외 공언
바이든 정부 대북기조 관련 첫 언급도
‘강한 발언’ 이면엔 명분 달라는 압박
靑 “일련의 상황 종합적·면밀히 분석”
김 위원장은 지난 29일 최고인민회의 2일차 회의에서 시정연설을 통해 “10월 초 관계 악화로 단절시켰던 북남(남북)통신연락선을 다시 복원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고 북한 관영매체들이 30일 일제히 보도했다. 최고인민회의 첫날 회의에 불참한 김 위원장이 둘째날 ‘깜짝’ 등장해 경색된 남북관계 회복을 위한 통신선 복원 뜻을 대내외적으로 공언한 것이다. 지난 7월 27일 통신선이 13개월 만에 복원됐을 때는 북한 주민들이 보는 노동신문, 조선중앙TV에 보도되지 않았다.
다만 김 위원장도 남북관계 회복 여부는 “남조선(남한) 당국의 태도에 달려 있다”며 남측에 공을 넘기거나, “종전선언 전에 불공정한 이중적인 태도, 적대시 정책부터 철회해야 한다”며 조건을 걸었다. 지난 24~25일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의 이틀 연속 담화와 같은 맥락이지만, 최고지도자의 ‘입’을 통해 강조됐다는 점에서 무게감이 다르다.
김여정 담화가 대남 메시지에 치중된 반면, 김 위원장은 바이든 정부의 대북 기조에 대해서도 처음으로 언급하는 등 대남·대미 메시지를 함께 발신했다. “미국의 군사적 위협과 적대시 정책은 조금도 달라진 것이 없다. 표현 형태와 수법은 더욱 교활해지고 있다”, “미국이 ‘전제조건 없는 대화’를 주장하고 있지만 저들의 적대 행위를 가리기 위한 허울에 지나지 않는다”는 표현만 놓고 보면 미국과의 대화 의사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김 위원장의 ‘강한 발언’ 이면에는 북측이 대화에 나올만한 명분을 제시하라는 압박이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은 연초부터 한반도 정세를 바꿔보려는 계획이 있었던 것 같다”면서 “이번 유엔총회 연설도 예의주시한 것으로 보이고, 문 대통령이 종전선언을 제안하자 이를 명분 삼아 드라이브를 거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 부부장이 최고인민회의에서 국무위원으로 선출된 것과 관련해 종전선언을 염두에 둔 조치라는 관측도 나온다. 홍 위원은 “종전선언을 추진할 경우 (북측에선) 대미·대남 분야를 담당하는 김 부부장이 주축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미국 내에서는 김 위원장의 대미 비난보다 지난 28일 발사한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8형’에 더 신경쓰는 분위기다. 미국, 러시아, 중국 등이 개발 경쟁을 벌이는 극초음속 미사일을 북한이 실전 배치한다면 역내 안보지형이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AFP통신은 미국, 영국, 프랑스의 요청에 따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30일(현지시간) 비공개 대응 회의를 연다고 전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kdlrudw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