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제의 주인공은 서울에 있는 미국 국제학교에 재학 중인 홍석원 학생사업가다. 중학교 2학년 때 네이버에 벤처 의류 재판매 브랜드를 만들었다. 자신의 손에는 18만원 정도가 있었다. 브랜드 이름은 ‘올라가(Olaga)’. 모든 부문에서 위로 올라가야 한다는 소박한 소망을 담았다. 할아버지께 600만원 정도를 빌려달라고 해 사업 비용으로 썼다.
그의 브랜드는 단순하고 재미있는 유니섹스 의류를 만들자는 것이었는데 아시아 6개국에서 14억원 매출을 올렸다. 스타일 셰어의 티셔츠 부문 1위에 올랐다. 주력 상품은 1만~2만원대 티셔츠와 5만~6만원대 트레이닝복. 수박, 구름 같은 단순한 디자인이 MZ세대의 감성을 단번에 사로잡았다.
홍씨는 “일주일에 일어날 수 없는 일이 일어났다. 월요일 아침에 15벌의 주문이 들어왔는데 점심 때는 50벌, 저녁 때는 80벌이었다. 그 주에만 300벌의 셔츠를 팔았다”고 즐거워했다. 12명의 직원을 채용했고 부모에게 학교 등록금을 돌려줬다. 미국 하버드 대학과 협업하며 브랜드 가치를 더욱 키웠다. 하버드 대학 학생조합이 그의 티셔츠에 주목해 협업하고 있다.

▲ 올라가 홈페이지 캡처
홍씨는 “저희 선생님이 제 경험을 다른 사람들 돕는 일에 써보라고 말씀하셨다”고 말했다. 장애인들과 어울려 일해본 경험이 있는 그는 패러독스 컴퓨터란 두 번째 회사를 창업했다. 회사 홈페이지에는 그의 말이 적혀 있다. “세상의 시각장애인들이 저렴한 가격에 쓸 수 있는 루이 브라유 점자 장비를 만들겠다는 꿈을 갖고 있다. 일년 동안 80여명의 시각장애인들과 함께 일하면서 이들이 기술을 때때로 두려워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난 이들의 선입견을 바꾸고 싶다.”
학업과 사업을 병행해야 하는 그는 CNBC에 “사업이 급성장해 학교를 그만둘까도 생각했지만 만나는 최고경영자(CEO)마다 ‘더 큰 경영을 하기 위해서는 대학을 가야 한다’고 말해 학업을 계속하기로 했다”고 털어놓았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