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데’ 왜 접종률이 높아지는데도 확진자는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늘어나는 걸까. 백신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걸까. ‘허나’ 이 같은 상황에서도 백신 생산업체 관계자들은 내년 코로나19 종식을 점치고 있다.
위 문장 속 ‘헌데’와 ‘허나’는 일상에서 흔히 쓰이는 말이다. 한데 이는 ‘하다’의 비표준어인 ‘허다’의 활용형으로 맞는 표현이 아니다.
뒤에 나오는 내용을 앞 내용과 관련시키면서 다른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 때나 앞뒤 내용이 대립될 때 두 문장을 이어 주는 말로 ‘그런데’의 뜻을 지닌 부사는 ‘헌데’가 아닌 ‘한데’이다.
“한데 무슨 볼일이 있어서 오셨습니까?” “내일 점심 회식을 하기로 하자. 한데 장소는 어디로 하지?”
‘하다’는 문장 앞에서 ‘하나’, ‘하니’, ‘하면’, ‘하여’, ‘한데’, ‘해서’ 따위의 꼴로 쓰여 ‘그러나’, ‘그러니’, ‘그러면’, ‘그리하여’, ‘그런데’, ‘그래서’의 뜻을 나타낸다.
오명숙 어문부장 oms30@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