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나에 대한 신뢰를 갖기 위해/김이설 소설가

[문화마당] 나에 대한 신뢰를 갖기 위해/김이설 소설가

입력 2021-09-22 16:48
업데이트 2021-09-23 03: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이설 소설가
김이설 소설가
올가을 나는 장편소설을 쓰고 있다. 정확히 말하면 쓰던 소설을 마저 이어 쓰고 있다. 2018년에 300장 정도 쓰다가 멈춘 소설이다. 장편소설은 대체로 원고지 1000장 이상의 소설을 말한다. 격월간지에 6회 연재를 한 후 단행본으로 출간하기로 계획했던 소설이었는데, 3회까지 연재를 하다 중단하고 말았다.

장편소설을 왜 쓰다 말았나. 심각한 번아웃(피로감)에 빠졌기 때문이었다. 언어를 잃고 글을 못 쓰던 시절의 일이다. 소설가가 연재를 일방적으로 중단하는 일, 글 쓰는 사람이 원고를 펑크 내는 일만큼 최악의 상황이 있을까. 그런데 그런 짓을 해 버리고 말았다. 지금에야 심하게 앓았기 때문이라는 걸 알지만 그 당시에는 그런 줄조차 모른 채 써지지 않는 소설을 붙잡고 매일 밤 울기만 했다.

그렇게 중도에 멈춘 소설을 다시 이어 쓰기로 한 데에 별다른 이유가 있는 건 아니다. 결자해지(結者解之). 일을 저지른 사람이 그 일을 해결해야 하니까. 장편소설을 단행본으로 내기로 한 출판사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 이제까지 기다려 준 출판사에 도리를 다하기 위해서다.

문제는 소설 구성 노트마저 잃어버려 구성 단계부터 새로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앞의 300장을 골자로 한 소설을 새로 구성해 써야 하는 이중의 숙제를 품고 쓰는 중이다. 소설가가 하면 안 되는 일을 저지른 벌을 받는 중이랄까.

시작이 반이라고 하지만 작심삼일이라는 말도 있다. 새해의 계획, 이달의 계획 중 절반 이상은 중도 포기했을 가능성이 많다. 운동, 저축, 식단 조절, 독서, 스케치 한 장, 영어 한 문장 외우기 같은 계획들. 시작을 했으니 반은 성공인데, 삼일을 넘기지 못해 실패가 돼 버린 일들 중에서 이어서 할 수 있는 일이 있을까? 그렇다면 당장 오늘부터 다시 하자. 9월 23일 오늘을 기준으로 2021년은 정확히 100일 남았다. 오늘부터 매일 해낸다면 백일 실천이 된다.

운동이나 영어 문장 외우기 같은 건 어렵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어그러진 가족 관계라든지, 타인에 대해 무너져 버린 마음이나 중도 포기해 버린 수능 공부 같은 일들은 섣불리 다시 시작하기가 힘들다. 어떻게 할지 방법을 모를 수도 있고, 무조건 해결이 안 되는 일이거나 굳이 하고 싶지 않은 일일 수도 있다. 영영 해결할 수 없는 일이라면 결국 가슴속에 무거운 돌덩이 같은 숙제가 남게 되는 것이다.

내게는 쓰다 만 장편소설 외에 문학 공부가 그런 숙제로 남아 있다. 직업 소설가인데 왜 문학 공부가 필요한지 반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는 문학의 본령이 아니라 소설 쓰는 기술만 배웠다는, 소설만 안다는, 사실은 소설에 대해서조차 아직도 모르겠다는 자격지심이 있기 때문이다. 그 자격지심을 버리고 싶다. 그래서 다시 공부를 하고 싶다. 제대로, 깊이, 순수한 앎에 대한 열망을 풀고 싶다.

방법이 없는 건 아니다. 대학 입학이나 편입을 할 수도 있다. 독학도 가능하다. 문제는 시작이다. 비용이나 시간, 계획, 공부를 하겠다는 다짐과 오랜 게으름과의 싸움 같은 것들을 철저히 준비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건 나는 해낼 수 있는 사람이라는 믿음이 수반돼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로 장편소설부터 제대로 완성해야겠다. 이제 약 400장 정도의 분량이 남았다. 400장 정도면 단편소설 네 편 정도의 분량. 겨울이 오기 전에 가능할지도 모르겠다. 적어도 올해 안에는 끝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럼 처음으로 장편소설을 완성하게 되는 셈이다. 무엇보다도 나는 맺은 일을 직접 풀 수 있는 사람, 시작한 일은 끝을 내고, 포기한 일도 해결하는 사람이라는 자신감을 갖게 될 것이다. 한 편의 장편소설이라는 결과물보다 나에 대한 신뢰가 더 소중한 가치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2021-09-23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