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다리 잃은 매 ‘금지’, 의족으로 다시 날아오른 사연은?

다리 잃은 매 ‘금지’, 의족으로 다시 날아오른 사연은?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21-09-17 15:01
업데이트 2021-09-17 15: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동상치료 돌입 후 치료 시작
커플 ‘옥엽’과 아침저녁 울음소리로 안부 확인

의족을 달고 있는 붉은허벅지말똥가리 ‘금지’. 서울대공원 제공
의족을 달고 있는 붉은허벅지말똥가리 ‘금지’. 서울대공원 제공
서울대공원에 12년째 자리잡고 있는 해리스 매 붉은허벅지말똥가리 ‘금지’가 불의의 사고를 딛고 ‘의족’으로 다시 되찾은 소중한 일상이 공개됐다. 힘들고 긴 치료시간을 함께 해 온 사육사들의 노력과 ‘금지’가 삶의 의지를 보인 결과다.

17일 서울대공원에 따르면 2009년 스페인에서 서울대공원으로 옮겨온 ‘금지’와 ‘옥엽’ 커플은 사육사들에게 소중한 존재라는 의미로 이름이 붙여졌다.

먹이를 둥지로 가져가서 발라먹은 뒤 남은 뼈는 다시 먹이대 위에 올려두는 착하고 온순한 성격으로 사육사들의 사랑을 받았다. 그러던 중 지난 2013년 ‘금지’는 비행 중 철창에 다리가 끼여 발가락이 절단되는 사고를 겪었다. 추위가 혹독했던 지난 겨울에는 절단 부위에 동상이 걸려 서 있기조차 어려울 만큼 상태가 악화됐다.

이에 사육사들과 수의사가 머리를 맞댔다. 두 다리로 서는 새들은 한 쪽 다리가 없으면 균형을 잡기 어려운 것은 물론, 발로 먹이를 잡고 먹는 맹금류 특성상 먹이활동을 하기도 어렵다. 이 때부터 송종훈·황현지·이아름 사육사와 김수현·이하늬 수의사 그리고 ‘금지’의 분투가 시작됐다.

사육사들은 우선 ‘금지’의 동상치료에 돌입, ‘금지’의 다리에 동상크림을 발라 마사지 하고 온욕치료를 시작했다. 매일 20분간 물 속에서 ‘금지’의 언 다리를 녹이는 온욕치료를 위해 사육사들은 물 온도 38도를 맞추며 따뜻한 물을 계속 나랐다.

‘금지’가 물 속에 다리를 담그고 있는 동안 누군가 ‘금지’의 몸을 잡고 있어야 했다. 이 과정에서 사육사들이 아이디어를 내 ‘금지’의 몸을 고정할 수 있는 장치를 고안했다. 송종훈 사육사는 “온욕치료가 처음에는 저희와 금지 모두 쉽지 않은 시간이었지만 금지가 다시 다리를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기 때문에 힘들게 느껴지지 않았다”라며 “다행히 순한 ‘금지’도 곧잘 적응해 온욕치료가 큰 효과를 볼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온욕치료를 마친 후 본격적으로 ‘금지’에게 의족을 달아주기 위한 치료가 시작됐다. 서울대공원 이하늬 수의사는 “처음에는 알루미늄 봉으로 만든 가의족을 제작해 달아줬더니 균형은 잡았지만 부리가 튼튼한 금지가 가의족을 고정한 붕대를 물어 뜯어 다른 방법을 고안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외국의 치료사례를 찾던 이 수의사는 맹금류인 수염수리의 다리에 나사뼈를 박아 반영구 의족을 달아준 사례에 주목했다. ‘금지’의 다리뼈에 나사를 박고 발 안쪽은 푹신한 아이클레이로, 바깥 부분은 플라스틱 재질로 만든 의족을 달아주는 2차 수술이 진행됐고,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금지’는 서 있기도 힘든 다리에 힘을 줘가며 먹이를 열심히 먹고 삶의 강한 의지를 보여줬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전까지 한 번도 떨어져 지낸 적 없던 ‘옥엽’과 수 개월의 치료기간 동안 떨어져 지내면서도 아침저녁으로 서로의 울음소리를 확인하는 애틋한 모습도 보였다고 한다.

지난 12년간 ‘금지’, ‘옥엽’과 함께 해 온 송종훈 사육사는 “‘금지’는 의족으로 먹이를 눌러놓고 뜯어먹는 등 의족을 능숙하게 사용하고 두 다리를 쭈욱 뻗어 멋지게 난다”고 전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