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계란부터 집세까지 다 올라…8월 소비자물가 2.6%↑…또 연중최고치

계란부터 집세까지 다 올라…8월 소비자물가 2.6%↑…또 연중최고치

이보희 기자
입력 2021-09-02 09:14
업데이트 2021-09-02 09: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가 상승에 공업제품 3.2%↑…달걀 54.6%↑, 농축수산물도 7.8%↑
집세 1.6% 상승…월세 0.9%↑ 7년1개월 만에 최대 상승

이미지 확대
계란값이 고공행진을 하는 가운데 18일 서울의 한 마트에서 시민이 계란을 고르고 있다. 2021.7.18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계란값이 고공행진을 하는 가운데 18일 서울의 한 마트에서 시민이 계란을 고르고 있다. 2021.7.18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2.6% 올라 다섯 달 연속으로 2%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8월 소비자물가는 농축수산물과 공업제품, 개인서비스 가격이 모두 오르면서 지난달에 이어 또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8.29(2015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6%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0.6%),2월(1.1%),3월(1.5%) 등으로 점차 폭을 키우다가 4월(2.3%)에 처음 2%대로 올라섰고 5월(2.6%)에는 9년 1개월 만의 최고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후 6월(2.4%)에는 상승률이 소폭 낮아졌으나 최근 7월,8월에 연이어 2.6%를 기록하며 최고치를 이어갔다.

물가 상승률이 5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 2017년 1~5월 이후 4년 만에 처음이다.

8월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이 폭염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보다 7.8% 올랐고,전월 대비로도 3.9% 뛰었다.

품목별로는 달걀이 54.6% 올라 올해 1월(15.2%)부터 8개월 연속으로 두 자릿수 상승률을 이어갔다.

돼지고기(11.0%),국산 쇠고기(7.5%) 등 축산물과 수박(38.1%),시금치(35.5%),고춧가루(26.1%) 등도 많이 올랐다.

공업제품은 3.2% 오르면서 2012년 5월(3.5%) 이후 9년 3개월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경유(23.5%),휘발유(20.8%) 등 석유류가 21.6% 상승한 가운데 원자재 가격이 오르며 가공식품 출고가가 인상된 영향이다.

공업제품은 지난해 4월부터 올해 2월까지 마이너스(-) 상승률을 보이다가 4월부터 2% 넘게 오르고 있다.

전기·수도·가스는 0.1% 상승했다.

반면 공공서비스는 고등학교 무상교육 등에 따라 0.7%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서비스는 2.7% 상승했다.특히 외식물가가 2.8% 올랐다.

개인서비스 중 많이 오른 품목은 보험서비스료(9.6%),공동주택관리비(5.3%) 등이었다.

집세는 1.6% 상승해 2017년 8월(1.6%)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월세는 0.9% 올라 2014년 7월(0.9%) 이후 7년 1개월 만에 가장 크게 올랐고,전세도 2.2% 뛰어올랐다.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3.4% 상승했다.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1.8% 올라 3월(1.0%),4월(1.4%),5월(1.5%),6월(1.5%),7월(1.7%)에 이어 여섯 달 연속 1%대 상승률을 보였다.

지난 2017년 8월(1.8%) 이후 4년 만의 최고치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달에 이어 2% 중반을 상회하며 예상보다 상승 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경기가 회복하며 수요 측면 상승 압력이 확대된 가운데 농축수산물과 국제유가 등 공급 측면 상승 요인이 예상보다 컸다”고 설명했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달 26일 올해 소비자물가가 상반기 1.8%,하반기 2.4% 오르며 연간 2.1%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보희 기자 boh2@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