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정수의 연구노트] ‘K-POP 100대 명곡’과 메타비평

[이정수의 연구노트] ‘K-POP 100대 명곡’과 메타비평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1-09-01 20:08
업데이트 2021-09-02 04: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POP 100대 명곡’이라는 거창한 제목을 단 기획물이 얼마 전 세상 밖으로 나왔다. 케이팝을 너무도 애정하는 기자의 작지만 큰 욕심에서 시작된 기획이 제법 그럴싸한 옷을 갖춰 입고 수많은 관객이 지켜보고 있는 무대에 오른 것이다. 무작정 음원 플랫폼 멜론에 연락해 공동기획을 제안한 일부터 논란이 일 게 예상되는 최종 리스트를 발표하기까지 어느 하나 쉽지 않았던 여정을 풀어놓으라면 하루 종일도 떠들 수 있을 것 같다. 다만 이 지면을 기자의 넋두리로 채울 수는 없는 법. ‘연구노트’ 취지에 걸맞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관점에서 얘기해 보겠다.

장기간 심혈을 기울인 이번 기획을 파급력 측면만 놓고 본다면 성공일까 실패일까. 서울신문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린 영상 콘텐츠는 의미 있는 조회수를 기록하지 못했다. 발표가 다 끝나고 뒤늦게 쓴 종합 기사에도 댓글은 거의 없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결과를 가장 먼저 접했을 경로인 멜론 사이트 상황은 훨씬 낫긴 했지만 폭발적인 반응까지는 아니었다. 하지만 사람들의 진짜 반응은 기획자가 의도한 울타리 너머에서 터져나왔다. 해당 소식을 전한 한 케이팝 관련 커뮤니티에선 게시글 하나에 댓글 1000개가 넘게 달렸다. 여러 SNS와 온라인 카페, 커뮤니티 등으로 명곡 리스트는 빠르게 전파됐고 곳곳에서 화제를 모았다.

이런 현상은 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가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용자 중심으로 소비되고 재생산되는 지금의 온라인 환경을 보여 준다. 이렇게 ‘퍼날라지는’ 게시물은 작성자의 시각을 반영하기도 한다. 발표된 리스트는 ‘케이팝 100대 명곡’이지만 그것을 소스로 해 기획사별 순위, 걸그룹·보이그룹별 순위 등을 만들어 낸다. 팬들은 각자가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순위와 선정평을 재가공해 소비한다.
이미지 확대
이런 ‘메타적’ 이용 방식은 형식에만 그치지 않는다. 명곡 순위를 놓고 불만의 목소리가 높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저마다 생각하는 명곡이 판이하게 다르기도 했고 이를 두고 또 갑론을박이 펼쳐졌다. 명곡 리스트에 대체적으로 공감하면서도 일부 선정평의 미흡함을 지적하는 사람들도, 기획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고 나름의 대안을 제시하려는 사람들도 많았다. 이런 메타비평들은 여러 SNS마다 조금씩 다른 양상을 띠었고, 다면적인 반응을 이해하려면 관찰자 역시 부지런해야 했다.

이번 기획에 참여한 김윤하 대중음악평론가는 순위 공개 후 트위터에 “전 이런 명반ㆍ명곡 순위는 까여야 제맛이라고 생각한다. 재미있는 이야기들 많이 나눠 달라”고 적었다. 순위에 불만을 표한 많은 네티즌들은 ‘선정위원마저 디스한 순위’로 받아들였지만, 김 평론가의 이 말은 메타비평이 있어야 훨씬 더 풍부해질 수 있는 비평의 본질에 대한 이야기로 보는 게 타당할 것이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21-09-02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