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신·경제문제 클수록 극단 선택 위험군

정신·경제문제 클수록 극단 선택 위험군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21-08-29 17:46
업데이트 2021-08-30 06: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년간 자살사망 분석 결과보고서

이미지 확대
1인가구 자료사진
1인가구 자료사진
극단적 선택을 초래하는 핵심 원인은 정신건강과 경제적 문제이며, 1인 가구 증가와도 상관관계가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정신건강 관리와 치료가 자살률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망자 중 정신질환 이력 절반 넘어

29일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 발표한 ‘5개년 전국 자살사망 분석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자살사망의 주요 원인은 정신건강 문제(36.1%), 경제 문제(19.5%), 신체건강 문제(17.4%)였다. 보고서는 2013~2017년 경찰 변사사건 조사 기록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5년간 자살사망자 6만 4124명을 전수조사해 주요 원인과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담았다.

●소득수준 낮을수록 사망률 올라가

자살사망자 중 정신질환 이력이 있던 비율은 56.2%나 됐다. 정신질환자 10만명당 자살사망 발생률은 215.5명으로 전체 인구 기준 자살사망 발생률(25.2명)과 비교하면 8.6배나 된다. 경제 문제가 자살에 미치는 영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건강보험료 분위 구간별 자살사망률을 살펴보면 기초생활보장 대상인 의료급여 구간에서는 10만명당 43.5명, 하위 구간(1∼6분위)은 30.0명, 중위 구간(7∼13분위)은 24.6명, 상위 구간(14∼20분위)은 19.1명으로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자살사망률이 올라가는 경향을 보였다.

●1인 가구 매년 증가… 연령별 65세 이상 최다

가구 형태별로 보면 2인 이상 가구 67.5%, 1인 가구 28.0% 등이었다. 특히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3년 27.0%, 2014년 28.8%, 2015년 29.2%, 2016년 30.0%, 2017년 30.1% 등으로 해마다 높아졌다.

연령별로는 노년기(65세 이상)가 10만명당 51.4명으로 가장 높았고 장년기(50~64세, 32.4명), 중년기(35~49세, 27.7명), 청년기(19~34세, 18.1명) 순이었다. 연도별로는 2013년 인구 10만명당 27.4명에서 2017년 22.8명으로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였다. 염민섭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사회경제적 상태나 기저질환이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며 “관계부처·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선제적으로 자살 예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21-08-30 8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