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요리 못하면 여성 몸에 불질러”…‘성노예’ 전락한 아프간 여성들

“요리 못하면 여성 몸에 불질러”…‘성노예’ 전락한 아프간 여성들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1-08-24 21:16
업데이트 2021-08-24 21: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집 밖에 나갈 땐 4살 이웃 남자아이와 함께”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에서 여성들이 ‘부르카’를 입고 길을 걷고 있다. AP 연합뉴스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에서 여성들이 ‘부르카’를 입고 길을 걷고 있다. AP 연합뉴스
아프간 인권운동가, ‘탈레반 실화’ 폭로
“우린 달라졌다” 거짓 선전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이슬람 무장단체 탈레반이 여성들을 고문하고 살해하는 폭력 행위를 벌이고 있다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24일 해외 온라인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이슬람 무장단체 탈레반에 의해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의 인권이 유린당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아프간 전직 판사 출신인 인권운동가 나즐라 아유비는 스카이뉴스를 통해 “지난 몇 주 사이 아프가니스탄의 수많은 여성들은 성노예로 전락해 이웃 나라로 보내졌고 어린 소녀들은 탈레반 전사들과 강제 결혼을 강요받고 있다”며 “여성 인권을 존중하겠다던 탈레반의 약속이 다 어디로 갔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어 “탈레반은 전사들에게 요리를 해주도록 여성들을 강제로 동원하고 있다”며 “탈레반 전사들은 요리를 잘못했다는 이유로 여성 몸에 불을 지르기도 한다”고 전했다. 이외에도 아유비는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이 구타와 채찍질을 당하며 심지어 고문과 살해 등도 어김없이 자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아유비는 탈레반 통치 아래에서의 삶은 ‘악몽’이라고 묘사했다. 그는 몇 달간 수백여 명의 여성 활동가 및 인권운동가들이 탈레반에 의해 암살당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아유비는 타지키스탄에서 법학 및 정치학 석사 학위를 취득해 아프가니스탄 파르완 지역에서 여성 최초로 판사가 됐다.

자유와 인권을 옹호해온 아유비는 이슬람 과격 단체의 표적이 됐고, 그는 사법부를 떠나 피신 생활을 하다 지난 2015년 고국을 떠나 미국에서 망명 생활 중이다. 그는 탈레반의 통제 속에서 사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에서 망명생활 중인 아프간 출신 인권운동가 나즐라 아유비가 영국 매체 스카이뉴스와 인터뷰한 모습. 스카이뉴스 트위터
미국에서 망명생활 중인 아프간 출신 인권운동가 나즐라 아유비가 영국 매체 스카이뉴스와 인터뷰한 모습. 스카이뉴스 트위터
판사로서 강력한 사회적 위치에 있었던 아유비는 탈레반 집권 후 사회적으로 아무것도 아닌 존재가 됐다고 말했다.

그저 여성이란 이유로 혼자 집 밖에 나갈 수도 없어 네 살 배기 이웃 남자아이와 함께 나서야만 했던 과거를 떠올리기도 했다.

1996~2001년 탈레반이 아프간을 통치하던 시절, 여성들은 일하거나 학교에 가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집에서 벗어날 때도 항상 남성이 동행해야만 했고, 얼굴을 드러내면 처벌벋아 부르카라 불리는 천을 온 몸에 뒤집어써야 했다. 부르카는 머리와 목만 가리는 히잡과 달리 눈 분위에도 망사천이 달려있다.

탈레반은 이번에는 여성 인권을 보장하겠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아프간 여성들은 탈레반이 가져올 새로운 통치를 두려워하고 있다.

또 부르카를 착용하지 않은 여성들에게 탈레반이 총격을 가했다는 소식이 연이어 보도되고 있다. 부르카는 무슬림 가운데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여성들만 주로 입는다.
이미지 확대
탈레반이 장악한 아프가니스탄에서 여성 인권과 성평등의 후퇴는 막아야 한다는 여성들의 목소리가 커진다. 카불에선 여성들이 당당히 거리로 나와 탈레반에 반대하는 시위도 열었다. 카불 로이터 연합뉴스
탈레반이 장악한 아프가니스탄에서 여성 인권과 성평등의 후퇴는 막아야 한다는 여성들의 목소리가 커진다. 카불에선 여성들이 당당히 거리로 나와 탈레반에 반대하는 시위도 열었다.
카불 로이터 연합뉴스
하지만 이에 대해 23일 탈레반 대변인은 ‘가짜 뉴스’라고 부인하며 “그들은 아무것도 잃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히잡을 쓰지 않았다면 히잡을 써야 하며 여성이 히잡을 쓴다면 당신 나라에서 누리는 것과 같은 권리를 가질 것”이라며 “현재 여성 교사들은 업무를 재개했고 여성 기자들 역시 복귀했다. 아무것도 변한 것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아프가니스탄에선 이미 과거 탈레반 집권 시절로 회귀하고 있다는 증언이 곳곳에서 전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