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現 중2부터 일반고 수업 170시간 줄어든다

現 중2부터 일반고 수업 170시간 줄어든다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1-08-23 20:38
업데이트 2021-08-24 03: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23년부터 고교학점제 사전 준비

일주일 기준으로 2시간가량 줄어든 셈
여유시간 진로·학업 설계 상담 등 활용
학업성취율 낮은 학생에 보충 지도 시행
교원단체, 업무 과중 등 우려 제기하자
내년 학점제 전담교사 452명 배정 추진
2023년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현 중학교 2학년부터 일반계 고등학교의 3년간 수업시간이 2890시간에서 2720시간으로 170시간 줄어든다. 한 주 기준으로 2시간의 수업이 줄어드는 셈이다. 2025년 ‘고교학점제’의 일반고 전면 도입에 앞서 단계적으로 수업량을 적절화하는 조치다. 수업량 기준은 ‘단위’에서 ‘학점’으로 바뀌고, 거의 모든 일반고가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로 지정된다.

교육부는 23일 고교교육 혁신 추진단 회의를 열고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적용을 위한 단계적 이행계획’을 발표했다. 고교 교육과정과 학사운영의 체계 전반을 뜯어고치는 고교학점제의 ‘연착륙’을 도모한다는 취지다.

계획의 뼈대는 일반고 수업량을 현행 ‘204단위’에서 ‘192단위’로 줄여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전인 2023~2024년에 고교 수업량을 단계적으로 줄이는 것이다. 현재 고교에서는 ‘1단위’가 50분 수업을 총 17회 실시하는 수업량이다. 204단위의 수업량은 총 2890시간이다. 반면 고교학점제에서는 ‘1학점’이 50분 수업을 총 16회 실시하는 수업량으로 192학점의 총 수업량은 2560시간으로 줄어든다.

교육부는 이같은 변화의 중간 단계로 ‘1단위’를 50분 수업 17회로 정하고 이를 2023~2024년 일반고에 입학하는 학생들부터 적용한다. 이들 학생들은 고교 3년간 총 2720시간 수업을 받게 된다. 주당 수업시간으로 환산하면 34시간에서 32시간으로 줄어든다. 교육부 관계자는 “주 4일 7교시·주 1일 6교시 수업을 하던 학교가 6교시 수업일을 주 3회로 늘릴 수 있는 변화”라고 설명했다.

교육부가 이같은 ‘수업량 적정화’에 나서는 것은 고교학점제의 핵심인 선택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기에 현 고교 수업량의 부담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1주일 시간표에서 여유 시간이 2시간 더 생겨 학교와 학생들이 시간표를 유연하게 설계해 진로 및 학업설계 상담, 선택과목에 따른 공강 시간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게 교육부의 설명이다.

학생들이 다른 학교로 가서 공동교육과정을 이수하거나 학교 밖 기관에서 수업을 듣는 것도 방과후가 아닌 정규 수업시간에 가능해진다.

고교학점제의 현장 안착을 위해 올해 기준 일반고의 55.9%인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가 내년 84%, 2024년 100%로 확대된다. 현 중1~2 학생이 고교에 진학할 때는 거의 모든 일반고가 고교학점제 모형을 운영하게 되는 셈이다. 2023년부터 선택과목을 이수하기 전 수강하는 공통과목(국어·영어·수학)에서 학업성취율이 40% 이하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 지도’가 모든 학교에서 실시된다. 다만 ▲미래형 대입제도 ▲모든 선택과목의 성취평가제 ▲미이수(I) 제도 도입 등 고교학점제의 핵심 변화는 예정대로 2025년 고1부터 적용된다.

교원단체들은 이날 “대입제도와 교원 수급 계획 등 기반이 마련되지 않았다”며 반발했다. 2023학년도 대입부터 서울 소재 주요 대학의 ‘정시 확대’가 본격화돼 중1~2학년은 교육과정과 대입 간 ‘엇박자’를 겪게 되고, 교사들의 업무 과중이 심화된다는 것이다.

교육부는 2023년부터 적용될 교원수급계획에 고교학점제에 따른 교원 수요를 반영하고, 내년에는 학교별 학점제 전담교사를 총 452명 배정한다. 고교학점제에 부합하는 ‘미래형 대입제도’를 2024년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21-08-24 1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