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조선 양반 삼년상, 36개월 아닌 28개월이었다

조선 양반 삼년상, 36개월 아닌 28개월이었다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1-08-16 20:56
업데이트 2021-08-17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속박물관, 19세기 기록 ‘거상잡의’ 번역
당대 시묘살이·제사 등 문화 상세히 담아

이미지 확대
경주 김씨 계림군파 김준영(1817~?)은 1846년 아버지 김규응(1779~1846)을 여의었다. 13년 뒤인 1859년엔 어머니 한산 이씨를 떠나보냈다. 진사시에 합격하고 연기현감을 지낸 그는 1846년 8월 12일부터 1848년 11월 5일까지, 1859년 1월 21일부터 1861년 4월 5일까지 부모의 삼년상을 각각 치르면서 기제와 묘제 등 여러 가지 의례와 상중에 느끼는 감회 등을 빠짐없이 기록한 ‘거상잡의’(居喪雜儀)를 남겼다.

국립민속박물관은 이를 번역하고 그동안 명확하지 않았던 저자와 작성 연대 등에 대해 상세한 주석을 붙인 ‘19세기 경주김씨 집안의 삼년상 일지 거상잡의’(최순권 역주)를 최근 발간했다. 예서에 규정된 상중 의례와 관행이 실제로 조선 후기 양반가에서 어떻게 행해졌는지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 드문 기록이다.

김준영은 삼년상을 28개월 동안 치렀다. 부모의 묘 옆에 움막을 짓고 탈상 때까지 묘소를 돌보는 시묘살이 대신 한양 집과 화성 집을 오갔다. 실제로 삼년상은 36개월이 아닌 27~28개월이 보통이었으며, 시묘살이는 예법에 나오지 않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예법은 상중에 조상 제사를 생략하도록 했으나 김준영은 부모상을 치르면서도 제사를 모셨다.

자료집에는 또 다른 기록물인 ‘거우일기’(居憂日記)가 부록으로 실렸다. 안주목사 이창임(1730∼1775)이 세상을 떠나자 아들 이선정(1759∼1814)이 1775년 7월 22일부터 이듬해 2월까지 남긴 상장례 일지다. 상례용품 목록과 참여자 명단, 부의 내용이 기록돼 있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1-08-17 2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