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그를 잃고, 남은 이들의 고통이 시작됐다

그를 잃고, 남은 이들의 고통이 시작됐다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21-08-12 22:36
업데이트 2021-08-13 04: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조받지 못한 사람들-2021 소방관 생존 리포트] <1> 이천 쿠팡물류센터 사고 그 후

이미지 확대
재난에 빠진 시민들을 구조하는 소방관들이라도 자신들이 맞닥뜨린 ‘마음 재난’에서 구조받지 못하는 절체절명의 순간들이 있다. 부천소방서 지창민(39) 소방장은 2018년 8월 12일 김포대교 인근 한강 하류에서 발생한 전복 사고로 함께 수난 구조를 하던 동기 오동진 소방위와 심문규 소방장을 잃었다. 당시 충격으로 지 소방장은 지금도 극심한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앓고 있다. 화재진압복과 평상복을 각각 입은 지 소방장의 모습을 한 장의 사진으로 합쳤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비주얼뉴스부 제작
재난에 빠진 시민들을 구조하는 소방관들이라도 자신들이 맞닥뜨린 ‘마음 재난’에서 구조받지 못하는 절체절명의 순간들이 있다. 부천소방서 지창민(39) 소방장은 2018년 8월 12일 김포대교 인근 한강 하류에서 발생한 전복 사고로 함께 수난 구조를 하던 동기 오동진 소방위와 심문규 소방장을 잃었다. 당시 충격으로 지 소방장은 지금도 극심한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앓고 있다. 화재진압복과 평상복을 각각 입은 지 소방장의 모습을 한 장의 사진으로 합쳤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비주얼뉴스부 제작
“대장님! 대장님! 대장님!”

지난 6월 17일 오전 11시 30분. 김동식 광주소방서 구조대장과 함께 경기도 이천 쿠팡물류센터 내부에서 인명 수색을 하던 C대원의 절규가 김 대장에게 전한 마지막 말이 됐다.

김 대장과 함께 검은 연기를 뿜어내는 건물 내부로 진입했던 구조대원 4명 중 C대원은 화염 속에서 봤던 대장의 마지막 모습이 여전히 잊혀지지 않는다고 했다. 대장을 구하지 못했다는 자책감은 팀원 모두에게 깊은 상처로 남았다. C대원은 대장을 구하려다 불길에 가로막혀 접근하지 못했다. 같은 시간 나머지 대원들은 거센 불길에 복층 계단에서 추락한 A대원을 구조해 탈출하고 있었다. 두 대원은 온몸이 까맣게 그을려 생사 구분조차 어려운 A대원을 밖으로 빼낸 뒤에야 김 대장이 고립된 걸 알았다. 대원들은 덕평센터 앞에서 김 대장의 생환을 간절히 기도했지만 이틀이 지난 19일 오전 11시 30분 주검이 발견됐다.

두 달 가까이 흐른 12일 현재 살아남은 대원 4명은 실어증에 빠진 듯 말을 잃었다. A대원은 팔과 손목 골절, 안면화상으로 치료 중이다. 나머지 대원 3명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상담을 받고 있다. 겉으로 드러나는 장애는 없었다. 광주소방서의 동료 소방관들은 대원들이 큰 심적 고통을 겪고 있다고 조심스럽게 전했다.

“그날 죽음의 경계를 넘어 살아 나온 기억 속에 갇혀 있지 않았으면 합니다. 대원들이 ‘나만 살아 나왔다’고 스스로 괴로워하고 자책감을 느끼지 않기를 기도합니다.”(광주소방서 익명의 동료)

2017년 국내 첫 소방관 전담 상담조직인 ‘소담팀’을 결성한 박승균 경기남양주소방서 소방위는 “동료의 순직은 소방관으로서 겪을 수 있는 가장 큰 정신적 충격이다. 시간이 지나도 강도가 사그라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구조대원들이 겪고 있는 정신적 혼란과 고통에 대한 집중적인 심리 상담과 체계적인 치료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대장 후임으로 광주소방서 구조대를 지휘하는 이병훈 구조대장은 “대원들이 심리적 어려움이 커지는 상황에 대해 신속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김윤수 구로소방서 소방장이 소방관과 구조 대상자를 한 사람의 모습으로 묘사한 ‘땀으로 눈물을 닦아드립니다’ 일러스트. 2016년 9월 서울소방안전 공모전 대상 작품이다. 김윤수 소방장 제공
김윤수 구로소방서 소방장이 소방관과 구조 대상자를 한 사람의 모습으로 묘사한 ‘땀으로 눈물을 닦아드립니다’ 일러스트. 2016년 9월 서울소방안전 공모전 대상 작품이다.
김윤수 소방장 제공
소방관의 PTSD는 재난에 빠진 시민들을 구조하는 예측 불가의 위험 못지않게 소방관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특수한 ‘마음 재난’이다. 특히 동료의 순직을 목격한 생존 소방관들은 극심한 스트레스와 우울증, 불안장애나 공황장애가 동반될 때가 많다. 생면부지의 타인들을 구조하기 위해 헌신하는 소방관 자신들이 구조받지 못하는 역설의 큰 원인으로 ‘정신적 외상’이 꼽힌다.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8개 소방본부 소속 소방관 5만 2119명 중 5.1%인 2666명이 현재 PTSD 위험군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서울신문이 ‘구조받지 못한 사람들 - 2021 소방관 생존 리포트’ 기획을 위해 조사한 PTSD 위험군 규모는 소방청 조사 결과와 두 배가량 차이가 난다. 전문가들도 증상을 숨기고 있는 소방관이 예상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산한다.

소방관들은 힘들다는 내색조차 하지 않는다. ‘나약한 소방관’이라는 낙인이 두려워 정신적 어려움을 드러내길 꺼린다. 전국 19개 소방본부 전체 상담 인력은 70여명 수준이다.
탐사기획부 tamsa@seoul.co.kr
2021-08-13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