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모더나 혈전증’ 검사 의뢰했지만 질병청 거부…제주 20대 여성 사망

‘모더나 혈전증’ 검사 의뢰했지만 질병청 거부…제주 20대 여성 사망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1-08-10 12:18
업데이트 2021-08-10 12: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충북대병원 의료진 모더나 백신 접종
충북대병원 의료진 모더나 백신 접종 29일 청주시 서원구 충북대병원에서 의료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모더나 백신을 접종받고 있다. 2021.6.29
연합뉴스
국내에서 모더나 백신을 맞은 20대가 혈전증 증상을 보여 지역 방역당국이 접종 이상반응 검사를 의뢰했지만 질병관리청이 받아주지 않았고, 이후 대상자가 숨져 인과성을 밝히기 어려워진 사례가 발생했다.

1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제주의 20대 여성 A씨는 지난달 26일 도내의 한 위탁의료기관에서 모더나 백신을 맞았고, 5일 뒤인 같은 달 31일 혈전증 증상으로 제주의 한 종합병원에서 수술을 받았다.

A씨에 대한 중증 이상반응 신고를 받은 제주도 방역당국은 접종 이상반응인지 확인하고자 질병청에 혈소판감소성혈전증(TTS) 검사를 의뢰했다.

그러나 질병청은 모더나의 경우 검사 대상이 아니라며 요청을 받아주지 않았다.

혈소판감소성혈전증은 아스트라제네카(AZ)나 얀센 백신 접종 후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부작용으로, 젊은 여성에게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질병청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혈전증을 모더나 백신 부작용으로 인정하지 않는 점 등을 토대로 AZ나 얀센 백신 접종 후 의심증상이 나타났을 때에만 TTS 검사를 하고 있다.

검사의뢰 기준은 ▲아데노벡터 백신(AZ·얀센) 접종 후 4∼28일 이내에 TTS 의심증상 발생 ▲혈소판 수가 15만/㎕(마이크로리터·100만분의 1리터) 미만 ▲혈전 여부를 알아볼 수 있는 디-다이머(D-dimer) 검사 수치 상승 ▲영상검사 등으로 혈전이 확인된 경우 등이다.

A씨는 이 기준에서 백신 종류를 제외한 나머지 기준에 모두 부합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제주도 당국은 소속 역학조사관(의료인) 의견 등을 바탕으로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미국에서 모더나 백신 접종 후에도 TTS 발생 사례가 있었던 점 등도 근거로 들어 질병청에 재차 검사 필요성을 피력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질병청은 혈전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단 검토 결과, 검사가 필요 없다고 판단했다며 검사 의뢰를 받아주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이후 제주도 당국이 검사를 의뢰할 방법을 백방으로 찾는 와중에 병원 치료를 받던 A씨는 지난 7일 끝내 숨졌다.

A씨의 사망이 접종과 연관이 있는지 여부는 질병청에서 최종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그러나 A씨가 이미 사망한 터라 인과성을 확인하기 더 어렵게 됐다.

제주도 방역당국에 따르면 질병청에 TTS 검사를 세 차례 의뢰했지만 질병청은 검사 대상이 아니라며 요청을 받아주지 않았다.

도 방역당국 관계자는 “일반 혈전증 치료와 백신 부작용에 따른 혈전증 치료는 방법이 크게 달라질병청에 TTS 검사를 세 차례나 요청했다”면서 “그러나 세 차례 요청 중 첫 번째와 두 번째는 모더나 백신이라는 이유로, 세 번째는 혈전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단의 논의 결과 검사 대상이 아니라는 질병청의 회신을 받았다”고 말했다.

게다가 질병청은 앞서 모더나와 같은 mRNA(메신저 리보핵산) 계열인 화이자 백신 이상반응 사례 중 TTS 검사 검체를 접수한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안은 대한의사협회에도 전달됐으며, 제주도 자체적으로도 대응 방안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한 질병청의 입장을 듣고자 여러 차례 연락을 시도했으나 연결되지 않았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된 지난 2월 26일 이후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 사례는 9일 0시 기준 누적 12만 8612건이다.

누적 사망 신고 사례는 448명이며, 다른 증상으로 먼저 신고됐다가 상태가 악화해 사망한 경우(191명)까지 포함하면 사망자는 639명(화이자 372명, 얀센 9명, 모더나 1명)이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