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장애인도 즐기고 싶다”...요원한 올림픽 ‘배리어프리’

“장애인도 즐기고 싶다”...요원한 올림픽 ‘배리어프리’

김가현 기자
김가현 기자
입력 2021-08-09 14:43
업데이트 2021-08-09 18: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020 도쿄올림픽 개막식 수어 통역 화면. MBC 캡처.
2020 도쿄올림픽 개막식 수어 통역 화면. MBC 캡처.
올림픽 방송에서 시·청각 장애인들의 접근성을 배려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매번 반복되는 지적에도 올림픽 중계 방송에 변화의 조짐이 보이지 않자, ‘장애인을 위한 올림픽은 없다’는 불만이 시·청각 장애인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올림픽 경기에서 스포츠 해설은 경기의 재미를 더하는 필수요소다. 그러나 다수의 청각 장애인들은 이런 해설의 묘미를 즐길 수 없었다. 개·폐막식이 아니면 수어 통역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 주요 올림픽 중계를 담당하는 지상파 3사에서도 이번 도쿄올림픽 경기에서 수어 통역을 실시간으로 제공한 경우는 거의 없었다.

현행 장애인차별금지법 제21조와 방송법 제69조 등에 따르면 방송사업자는 ‘장애인방송’을 의무 제공해야 한다. 장애인방송이란 청각장 애인을 위한 ‘자막방송’과 ‘수어(수화)통역’,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을 이용한 방송 등을 말한다.

●“중계 해설 없어 그림만 본다”
개·폐막식 수어 통역도 ‘보일락말락’

장애인들이 선수로 참여하는 패럴림픽 경기에서조차 청각장애인들은 해설 서비스에서 소외된다. 패럴림픽 경기를 중계하는 지상파 3사 중에서 수어 통역을 제공하는 방송사는 KBS가 유일하며, KBS 또한 일부 종목에 한해서만 통역을 제공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개·폐막식에서는 수어 통역이 제공됐지만, 통역 화면의 크기가 아쉬움으로 남았다.

앞서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수어 통역을 제공하지 않아 장애인 인권단체인 ‘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장애벽허물기)이 국가인권위에 진정서를 내기도 했다. 이에 인권위는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과 페럴림픽 개·폐막식에서 수어 통역을 제공하라”는 시정 권고를 내렸고, 패럴림픽 개·폐막식에서 수어 통역이 제공됐다. 이후 도쿄올림픽 개막식에서도 수어 통역 화면이 나왔다.

그러나 수어 통역 화면이 개막식 화면 한 귀퉁이에 조그맣게 자리한 탓에 청각장애인들의 불편은 여전했다. 애초에 현행 방송법상 수어 통역 화면의 크기는 전체 화면의 16분의 1에 불과해 충분한 크기로 제공되는 통역 화면 자체가 흔치 않다. 때문에 청각장애인들은 수어 통역사의 표정과 몸짓을 완전하게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해설 없는 퍼포먼스에 시각장애인 ‘답답’

시각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역시 열악하다. 오륜기 게양, 성화 점화 등 시각적인 요소가 많이 부각되는 개막식 특성상 누군가의 설명이 없으면 시각장애인들은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 특히나 개막식 때는 개최국만의 특색 있는 퍼포먼스가 펼쳐지는데, 시각장애인들을 이를 모두 놓치게 된다. 화면 해설 등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서비스가 필요함에도 여전히 이러한 시각장애인의 요구는 반영되지 않는다.

또 시각장애인들은 올림픽 경기 일정을 알기도 어렵다. 뉴스를 통해서 경기 일정을 접할 수 있긴 하지만, 정확한 시간은 자막으로만 제공되다 보니 다른 경로로 경기 일정을 재차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한다.
이미지 확대
영국 공영방송 BBC의 뉴스에서 수어 통역을 보여주는 모습. BBC 화면 캡처.
영국 공영방송 BBC의 뉴스에서 수어 통역을 보여주는 모습. BBC 화면 캡처.
장애인단체는 매년 반복되는 지적에도 큰 변화가 없자 지쳤다는 평가다. 김성연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사무국장은 “수어 통역 얘기는 기본적으로 계속 말씀을 드리고 있는데 잘 바뀌지 않는다”면서 “해외에는 수어 통역 화면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도 있는데 우리는 그런 게 없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그러면서 “올림픽처럼 큰 행사의 경우 장애인 해설을 제공하는 게 장애인차별금지법상(장차법) 기본 원칙”이라면서 “계속 장차법을 위반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가현 기자 kgh528@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