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m35 뛰어오른 우상혁… 한국 육상의 거대한 도약

2m35 뛰어오른 우상혁… 한국 육상의 거대한 도약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21-08-02 00:46
업데이트 2021-08-02 0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높이뛰기 한국新으로 ‘역대 최고’ 4위

교통사고 후유증 ‘짝발’·작은 키 한계 극복
‘야망’ ‘열정’ 새기고 24년 만에 새 한국 기록
“행복한 밤… 3년 뒤 올림픽서 우승하겠다”
이미지 확대
우상혁이 1일 일본 도쿄 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도쿄올림픽 육상 남자 높이뛰기 결선에서 2m35를 넘어 한국신기록과 함께 역대 올림픽 육상 트랙&필드 종전 최고 순위인 8위의 벽을 넘어 4위에 오른 뒤 두 손을 번쩍 들고 환호하고 있다. 도쿄 올림픽사진공동취재단
우상혁이 1일 일본 도쿄 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도쿄올림픽 육상 남자 높이뛰기 결선에서 2m35를 넘어 한국신기록과 함께 역대 올림픽 육상 트랙&필드 종전 최고 순위인 8위의 벽을 넘어 4위에 오른 뒤 두 손을 번쩍 들고 환호하고 있다.
도쿄 올림픽사진공동취재단
1일 일본 도쿄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0 도쿄올림픽 육상 남자 높이뛰기 결선. 우상혁(25·국군체육부대)은 2m39 3차 시기를 앞두고 있었다. 바를 향해 미소를 머금고 얼굴과 다리를 치며 긴장을 풀었다. 오른손을 들고 “렛츠고, 우”를 외쳤다. 관중석을 향해 박수도 유도했다. 무관중 경기지만 각국 코치와 관계자들이 호응했다. 마지막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 그래도 환하게 웃었다. 지난 3월 입대한 일병은 멋진 거수경례로 마무리를 자축했다.

우상혁이 한국 육상 트랙&필드 선수로는 25년 만에 선 올림픽 결선 무대에서 ‘야망’과 ‘열정’을 날개 삼아 한국 신기록에 역대 최고 성적으로 날아올랐다. 그는 2m35를 넘어 전체 13명 중 4위를 차지했다. 공동 금메달을 딴 무타즈 에사 바심(카타르) 등과는 2㎝ 차이였다.

1997년 6월 이진택이 세운 한국 기록(2m34)을 24년 만에 갈아치운 것을 물론 1984년 로스앤젤레스 대회 김종일(남자 멀리뛰기), 1988년 서울 대회 김희선(여자 높이뛰기), 1996년 애틀랜타 대회 이진택(이상 8위)을 뛰어넘어 한국 육상 트랙&필드 최고의 순간을 만들었다.

우상혁은 예선 9위로 결선에 합류했지만 세계 랭킹은 30위로 가장 낮았다. 개인 최고 기록(2m31)도 가장 낮았다. 그러나 전혀 주눅 들지 않고 날아오른 그가 일궈낸 한국 육상의 도약은 거대했다.

거수경례를 하며 입장한 우상혁은 거침 없었다. 2m19, 2m24, 2m27, 2m30을 1차 시기에 가볍게 뛰어넘고 거듭 포효했다. 이때까지 단 한 번의 실패도 없던 건 5명에 불과했다.

한 번도 넘어보지 못한 2m33에서 살짝 굳은 얼굴이 됐다. 1차 시기는 일단 실패. 그러나 2차 시기에 기어코 뛰어넘으며 개인 기록을 경신하고는 미소를 되찾아 2m35도 1차 시기에 뛰어넘었다. 왼쪽 어깨에 오륜과 함께 새긴 단어 ‘야망’과 ‘열정’이 날개가 됐다. 우상혁은 2m37 1차 시기 실패 뒤 2m39에 도전했으나 아름다운 비행은 거기까지였다.

우상혁의 거대한 도약은 여덟 살 때 교통사고 후유증 때문에 생긴 ‘짝발’에다가 높이뛰기 선수로는 상대적으로 작은 키(188㎝)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뤄낸 것이라 더욱 빛난다.

5년 전 리우에서는 2m26을 넘는 데 그쳐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아시안게임 은메달을 목에 건 뒤에는 피로골절로 슬럼프에 빠져 운동을 포기할 생각까지 했다. 그가 일어선 건 김도균 코치 덕분이다. 식탐이 있던 그는 식단도 바꿔가며 10㎏ 이상 감량해 최적의 몸을 만들었고, 부지런히 랭킹 포인트를 쌓아 포인트 인정 마지막날 극적으로 도쿄행 티켓을 움켜쥐었다. 도쿄에서 끌어올린 9㎝는 5년간 부단한 노력을 기울인 결과물이다.

우상혁은 경기 뒤 “행복한 밤”이라며 “아쉽지만 후회는 없다”고 했다. 또 “한국신기록으로 일단 만족하고 3년 뒤 파리올림픽에서 우승해보겠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는 “가능성을 봤다. 할 수 있다”며 “저 무서워서 은퇴하는 친구들이 많을 것”이라고 너스레도 떨었다.

도쿄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21-08-02 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