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한반도 평화의 슈퍼밈/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

[열린세상] 한반도 평화의 슈퍼밈/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

입력 2021-07-25 17:34
업데이트 2021-07-26 0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
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
최근 ‘무야호’라는 신조어가 유행이다. 과거 TV 예능 프로에서 나온 말을 기억해 합성영상 등 소위 ‘짤방’이 나오면서부터다. 발매 당시 혹평을 받았던 가수 비의 노래 ‘깡’이나 20년이나 지난 드라마 속 김두한 역할의 배우 김영철의 대사 “사딸라”도 인터넷 패러디물로 유행해 광고계를 휩쓸었다. 이를 ‘밈’(meme)이라고 한다.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2차 창작물이나 패러디물 또는 특정 유행을 통칭하는 단어다.

소셜미디어나 커뮤니티 등을 통해 입소문을 탄 주식을 ‘밈 주식’이라고 한다. 밈 코인은 ‘도지코인’(DOGE)이 대표적이다. 각종 SNS 챌린지도 밈의 한 형태다. 이미 밈은 문화, 경제 등 사회 전반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원래 ‘밈’이 유행어나 SNS 패러디물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밈은 영국의 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1976년에 저서 ‘이기적인 유전자’(The Selfish Gene)에서 제시한 용어다. 도킨스는 문화가 모방을 통해 전달된다고 보았다. 모방의 뜻이 함축된 그리스어(mimeme)와 생물학적인 용어인 유전자의 발음 ‘진’(gene)에 빗대어 밈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냈다. 문화 전달에도 유전자처럼 복제 역할을 하는 요소가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밈이다. 옥스퍼드 영어사전도 ‘밈’이 유전적 방법이 아닌 모방을 통해서 전해지는 것으로 여겨지는 문화의 요소라고 정의하고 있다.

밈은 한 사람이나 집단에게서 다른 집단으로 생각 혹은 믿음이 전해질 때 전달되는 모방 가능한 사회적 단위를 총칭한다. 밈은 상식이나 통념으로 존재할 수 있고, 편견이나 선입견으로 자리잡을 수도 있다. 주장이나 학설로 나타나기도 하고 캐치프레이즈나 슬로건으로 전해지기도 한다. 사이버 공간을 통해 밈의 개념과 영역은 더 넓어지고 복잡해졌다. 도움이 되는 밈도 있고 해악을 끼치는 밈도 있다. 잠시 왔다 사라지는, 작은 영향력의 밈도 있고 세대가 바뀌어도 이어지는 강력하고 지배적인 소위 ‘슈퍼밈’(super meme)도 있다.

어떤 영역에서 슈퍼밈이 장악한 사회는 다른 믿음과 생각이 뿌리내리기 어렵다. 슈퍼밈이 잘못됐다는 충분한 증거가 있어도 그들은 계속해서 그것을 사실로 믿는다. 순응은 전염되고 오래된 믿음이 주는 자기 위안 속에서 손에 쥔 부와 권력을 지킬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에 남북 관계와 한반도 문제에 대한 ‘슈퍼밈’이 존재하지 않나 상상해 본다. 그 모습은 북한을 악마화하며 북한 붕괴론을 신봉하고 한미동맹을 만병통치약으로 여기는 믿음이 아닐까 한다. “평화를 원한다면 전쟁을 준비하라”(Si vis pacem, para bellum)는 슈퍼밈도 존재한다. 이미 20년 전 영국의 헤이즐 스미스 교수는 ‘Bad, Mad, Sad or Rational Actor?’라는 논문에서 북한을 미쳤거나 악마로 보는 시각은 양립하기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019년 6월 오슬로 포럼 기조연설에서 인용한 세계적인 평화학자 요한 칼퉁은 상대를 악마화하고 힘으로 대응하려는 것은 안보적 논리라고 설명한다. 반대로 세상 어디에든 갈등은 존재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상호 해결책을 만들고 실천한다면 평화를 얻어 낼 가능성은 분명히 있다는 평화의 대안적 논리를 제시했다.

1953년 7월 27일은 정전협정이 체결된 날이다. 68년 전 한국전쟁을 끝내지 못한 날로 기억하기보다 왜 평화를 시작하지 못했는지 전쟁에서 평화로 패러다임을 전환해 보자. 2018년 한반도 평화의 새로운 시작이 아직도 제자리걸음인 것은 우리 사회를 지배하는 전쟁에 대한 공포와 그 위협을 회피하려는 군사안보적 밈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안보라는 이름에 가려진 묵은 믿음이 한반도의 평화를 가로막아 왔던 것은 아니었을까 한다. 이젠 위협에 도전하는 평화적 접근의 용기가 필요한 때다.

우리는 이미 평화가 가장 필요하다는 것을 잘 안다. 평화를 얻고자 꽤 훌륭한 많은 남북 간 합의도 했고, 이를 실천할 자원과 기술, 능력도 있다. 그렇지만 갈림길에 들어서고 하나하나의 장애물을 치울 때마다 우리의 용기가 번번이 우리의 앞을 가로막는다. 한반도 평화의 밈은 한 시대 유행어가 아니다. “평화를 원한다면 평화를 준비하라”(Si vis pacem, para pactum)가 우리 사회에서 슈퍼밈이 되길 소망해 본다.
2021-07-26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