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은경의 유레카] 친환경 기술사회를 위한 미래연구/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이은경의 유레카] 친환경 기술사회를 위한 미래연구/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입력 2021-07-12 20:34
업데이트 2021-07-13 02: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를 거쳐 인류는 ‘플래스틱’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다.…주택들은 가볍고 모양을 마음대로 곡선, 직선으로 조절하며 빛깔을 자유자재로 선택할 수 있는 ‘플래스틱’으로 되어 있다.”
이미지 확대
1962년 11월 한 일간지에서 보도된 ‘21세기 시리즈(7) 플래스틱 시대’의 일부다. 새로운 소재로서 플라스틱에 대한 기대가 잘 드러난다. 1930년대부터 폴리에틸렌을 비롯한 다양한 합성 고분자 플라스틱이 개발되고 널리 사용됐다. 그러나 산업화를 막 시작한 당시인 1960년대 한국에서 플라스틱은 처음 경험하는 매력적인 소재였다. 여러 가지 색깔과 모양으로 만들기 쉽고 가볍고 튼튼했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된 기사에서는 21세기가 되면 가구, 자동차, 집, 옷도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시대가 될 것이라는 말로 마무리됐다. 이 기대는 대부분 이루어졌다. 그러나 21세기에 플라스틱 폐기물 때문에 전 세계가 골머리를 앓게 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 그때 알았더라면 지금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재활용하고 안전하게 폐기하기 위해 기울이는 모든 노력을 더 일찍, 더 효과적으로 시작했을 것이다.

교훈은 분명하다. 지금의 여러 기술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는 기술과 관련해서는 미래에 똑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미리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과학기술정책과 미래연구의 결합이 새롭게 강조되고 있다.

미래연구는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고, 나아가 미래의 대안을 개발하는 데 관심을 둔다. 과학기술 로드맵은 미래 예측 중 하나지만 과학기술에 국한되고 사회 제도와 관련된 미래 연구와의 접점은 약한 것이 사실이다.

과학기술이 사회 속에서 사용되면서 생기는 변화 예측과 대안 마련을 위해서는 과학기술과 사회가 결합된 시스템에 대한 미래연구가 중요하다.

최근 생산과 수요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친환경 자동차, 특히 전기자동차에 대해 생각해 보자. 2008년에 테슬라가 스포츠카 형태의 ‘로드스터’를 처음 출시한 이래 전기자동차는 빠른 속도로 친환경 미래자동차 시장의 주류가 됐다. 지금 속도라면 10년쯤 뒤에는 도로 위의 자동차 절대 다수가 전기자동차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한 미래사회를 잠깐만 생각해 보면, 성능이 떨어진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는 어떻게 처리하나, 혹시 플라스틱 산처럼 거대한 배터리 더미를 안고 살게 되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물론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이미 전문가들은 배터리 재활용과 재사용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성능이 일정 수준 이상 남은 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사용하고 재사용이 어려운 배터리는 분해해 리튬, 코발트, 니켈, 망간 등 희귀금속을 추출해 재활용하는 방안이다. 이러한 방안이 자리잡기 위해서는 기술개발은 물론이고 배터리 수거, 재활용·재사용 제도, 비용 부담 주체 등과 관련된 여러 정책과 제도가 체계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폐기되는 배터리 외에도 사용량이 증가할 전기를 친환경적으로 생산하는 방안, 충전 인프라 확대 방안 등도 고려돼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20~30년 뒤에 ‘친환경 자동차의 배신’, ‘배터리 오염 심각’ 같은 뉴스를 보게 될지 모른다. 친환경 미래 교통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미래연구가 정책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을 것이라 믿는다.
2021-07-13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