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軍급식, 학교급식 벤치마킹… 경쟁조달·민간위탁 확대

軍급식, 학교급식 벤치마킹… 경쟁조달·민간위탁 확대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21-07-04 13:14
업데이트 2021-07-04 13: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재 농축수협 1년 수의계약 통해 식재료 조달
학교급식 시스템 변형해 다수 공급자 참여토록
영양사도 군단급에서 여단급으로 확대 편성
‘선 식단편성·후 식재료 경쟁조달’ 체계 도입

이미지 확대
제8기 대한민국 급식?피복 모니터링단, 군 급식실태 점검
제8기 대한민국 급식?피복 모니터링단, 군 급식실태 점검 제8기 대한민국 급식?피복 모니터링단, 군 급식실태 점검
(서울=연합뉴스) 일반 국민들로 구성된 제8기 대한민국 급식?피복 모니터링단이 지난 1일 전북 익산 육군 부사관학교를 방문해 군 급식실태를 점검하고 있다. 2021.7.4
[국방일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부실급식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군 급식이 학교 급식을 벤치마킹해 식재료 경쟁 조달 체계를 도입하고 민간 위탁을 확대한다.

국방부는 4일 군 급식시스템을 직영을 원칙으로 장병 선호와 건강을 반영하는 ‘선 식단편성·후 식재료 경쟁조달’ 체계로 변화시키기 위해 장병급식 전자조달시스템(가칭 MaT)을 단계적으로 도입할 것을 검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현재 군 급식은 한 해 식재료를 미리 정하고 농축수협과 수의계약을 통해 납품받으면, 3만여 명 규모의 군단급에 편성된 영양사가 정해진 식재료를 기준으로 표준 식단을 짜는 ‘선 식재료 조달·후 식단편성’ 체계다.

군은 1970년 1월에 농축수협과 체결한 ‘군 급식 품목 계획생산 및 조달에 관한 협정’에 따라 현재까지 군납 농축수협 90여 개와 1년 단위 수의 계약을 맺고 조합의 변경 없이 농축수산물을 납품받고 있다. 돼지, 닭 등 축산물은 마리당 계약을 해야 하기에 닭다리 등 장병 선호 부위나 돼지 목살·등심 등 식단에 따른 적절한 부위를 납품받지 못하고 있다. 수산물은 2015년부터 매년 실시하는 외부 전문기관의 품목별 만족도 조사에서 최하위 수준이며 비싼 단가로 인해 급식비 대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국방부는 “현행 군 급식 체계가 공급자 위주의 농축수산물 조달 체계이기에 장병들의 선호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며 “또한 관계 법령에 따른 규제 때문에 공산품 및 가공식품 메뉴 활용 시 장병들의 선호 제품 제공도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국방부는 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와 협업해 내년에 학교급식 전자조달시스템(eaT)를 군 전용으로 변형한 시스템(가칭 장병급식 전자조달시스템, MaT)을 개발, 영양사가 직접 식단 편성과 입찰, 계약, 정산하는 시스템을 구축·운영할 계획이다. MaT가 도입되면 식재료 조달에 농축수협뿐 아니라 다수의 공급자들이 참여할 수 있게 된다. 국방부는 올해 하반기 육군 2개, 해·공군 각 1개 등 4개 부대에 MaT를 시범 운영하고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확대·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현재 군단급에 편성된 영양사를 1만 2000여 명 규모의 사단급으로 확대하기 위해 올해 후반기에 영양사 47명을 채용한다. 장기적으로는 여단급으로 영양사 채용을 확대할 예정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학교급식의 경우 전국 1만여 개의 학교마다 영양사가 있다”며 “영양사가 여단급까지 확대되면 여단 단위로 매월 장병들의 선호를 반영한 메뉴를 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국방부는 대규모 교육훈련기관을 중심으로 민간 위탁을 추진하고, 부대에서 조리병 대신 민간인력만 조리하는 방안도 시범 적용한다. 국방부는 “육군훈련소, 해·공군·해병대 교육훈련단 등 교육훈련기관은 연간 많은 교육인원을 대상으로 급식을 지원하는 특수 상황과 전시 급식지원에 제한사항이 상대적으로 적은 점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