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게임 그만해!” 마냥 잔소리 대신 “오늘 어땠어?” 물으면 달라져요

“게임 그만해!” 마냥 잔소리 대신 “오늘 어땠어?” 물으면 달라져요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1-06-30 22:20
업데이트 2021-07-01 03: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장주 이락 디지털문화연구소장

‘자녀와의 경험’ 녹여 소통법 소개
“게임으로 긍정적 활동 유도해야”
이미지 확대
이장주 이락 디지털문화연구소장
이장주 이락 디지털문화연구소장
“‘이제 게임 그만할 시간이야’라고 소리 지르는 대신 ‘오늘 게임은 어땠니’라고 물어보세요. 효과가 더 있을 겁니다.”

부모의 잔소리에 아이는 마지못해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끄지만, 갈등은 그대로 남는다. 코로나19로 집에 있는 시간이 늘면서 다툼도 잦아진다. 많은 전문가들이 “아이와 우선 소통하라”고 하지만 공허하다. 태어날 때부터 스마트폰을 쓴 포노사피엔스인 아이와 호모사피엔스 부모는 서로를 이해하는 것조차 어렵다.

이장주 이락 디지털문화연구소장은 최근 출간한 ‘게임세대 내 아이와 소통하는 법’(한빛비즈)에서 부모 세대에게 게임과 관련 산업을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요즘 아이들에게 게임은 놀이이자 또래와 경쟁하고 협동하는 수단”인데 어른들은 “프로게이머가 등장한 지 20년이 넘었는데도 여전히 게임은 폭력 성향을 키우고, 뇌에 문제를 준다는 ‘공포와 선입견’에 사로잡혀” 인식의 간극을 줄이지 못한다고 분석했다.
아이클릭아트
아이클릭아트
게임을 허락하되, 다만 게임을 왜 하는지, 게임을 하면서 얻는 게 무엇인지 대화를 나눠 보길 권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부모가 속상한 기분을 표현하는 건 괜찮지만, 막무가내형 윽박은 역효과를 부른다. “자기 통제를 담당하는 전두엽은 20대에나 완성되는데 성인도 제어가 어려워요. 어른들도 유튜브 한번 보면 하염없이 빠져들잖아요. 스무 살도 안 된 아이가 기계처럼 자신을 통제하길 바라는 건 사실 무리죠.”

게임문화를 연구하는 문화심리학자이자 세 아이의 아버지인 저자는 게임을 두고 아이들과 벌인 승강이를 비롯해 그 과정에서 느낀 점 등을 책에 녹였다. “게임에만 매달리는 아이들한테 ‘해야 할 일은 다 하고 게임을 즐기자’는 거 하나만 약속하자 했습니다. 첫째와 둘째는 약속을 제대로 지키더라고요. 중학생인 막내도 주말엔 하루 종일 게임을 하지만, 제 할 일은 다 하고 있어요.”

이 소장은 부모가 게임을 시간낭비가 아닌 의미와 가치가 있는 활동으로 인정하고, 게임에서 길러야 할 덕성을 함께 찾아볼 것을 제안했다. “게임에서 발견한 의미들이 노래나 운동, 공부 등 다른 분야로 이어지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 보라”는 조언도 덧붙였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1-07-01 27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