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울 중소형 아파트도… ‘평균 10억 시대’

서울 중소형 아파트도… ‘평균 10억 시대’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1-06-30 20:54
업데이트 2021-07-01 03: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용 60㎡~85㎡이하 2년 만에 3억원 올라
강남 11억 7628만원, 강북 8억 8140만원
전문가 “고소득 맞벌이도 버거운 수준”

반포 ‘아리팍’ 84㎡ 39억 8000만원 신고가
평당 1억 1706만원… 두 달 새 1.3억 상승
이미지 확대
30일 서울 송파구 한 부동산중개업소의 외벽에 중소형 아파트가 10억원에서 20억원대라는 시세판이 붙어 있다. 이날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에 따르면 6월 서울의 중소형(24~34평)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사상 처음 10억원을 넘긴 것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30일 서울 송파구 한 부동산중개업소의 외벽에 중소형 아파트가 10억원에서 20억원대라는 시세판이 붙어 있다. 이날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에 따르면 6월 서울의 중소형(24~34평)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사상 처음 10억원을 넘긴 것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서울 평당 최고가 아파트로 꼽히는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4평형)의 매맷값이 40억원 돌파를 눈앞에 뒀다.

3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아크로리버파크 84.95㎡가 지난 19일 신고가인 39억 8000만원(10층)에 팔렸다. 지난 4월 기록한 종전 최고가(38억 5000만원)보다 두 달 만에 1억 3000만원이 올랐다. 평당으로 환산하면 1억 1706만원이다. 이 아파트는 지난해 처음 평당 1억원을 돌파했다.

서울의 중소형(전용면적 60㎡ 초과~85㎡ 이하)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이 처음으로 평균 10억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에 따르면 6월 중소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10억 1262만원으로 집계됐다. 2018년 6월 6억 9651만원이던 것과 비교하면 2년 만에 무려 3억 1611만이 올랐다. 상승률이 45.4%다.

지역별로 보면 강남권(한강 이남 11개구)이 11억 7628만원, 강북권(한강 이북 14개구)은 8억 8140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미지 확대
강남권은 2018년 8월 8억원을 넘긴 뒤 17개월 만인 지난해 1월 9억원, 이후 7개월 만인 작년 8월 10억원, 그 뒤로 5개월 만인 올 1월 11억원을 넘겼다. 집값이 2억원 오르는 데 걸린 시간이 1년에 불과할 정도로 가팔랐다.

강북권 역시 상승 시계추가 빨라지고 있다. 2019년 8월 6억원대에 진입한 뒤 11개월 후인 작년 7월 7억원, 이후 6개월 만인 올 1월 8억원을 넘었다.

실제로 서초구 잠원동 래미안신반포팰리스의 전용면적 84.42㎡가 지난 19일 종전 최고가인 28억원을 경신한 28억 7000만원(25층)에 팔렸다. 이 아파트의 같은 평형이 2019년 7월 23억 2000만원(34층)에 팔린 것과 비교하면 약 2년 만에 5억 5000만원이 오른 것이다. 또 강남구 역삼동 역삼래미안 전용면적 59.4㎡가 지난 5일 20억원(19층)에 거래됐는데, 2019년 6월에는 비슷한 층이 13억 5000만원(16층)에 매매됐다. 2년 사이 6억 5000만원 뛰었다.

강북권 중소형도 마찬가지다. 노원구 상계동 수락리버시티3단지 84.81㎡가 지난 10일 7억 3000만원(9층)에 거래돼 2019년 7월 4억 6500만원(7층)보다 2억 6500만원 올랐고, 은평구 수색동 대림한숲 84.95㎡는 지난 9일 9억원(12층)에 팔려 2년 전 5억 6500만원(5층)보다 3억 3000만원 넘게 올랐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무위원은 “서울 집값은 고소득 전문직 맞벌이 부부도 감당하기 버거울 정도로 치솟고 있다”며 “중산층을 위한 내 집 마련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2021-07-01 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