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88년 만에 다시 드러난 공주 송산리 29호분, 백제 왕릉급 무덤 재확인

88년 만에 다시 드러난 공주 송산리 29호분, 백제 왕릉급 무덤 재확인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1-06-28 12:36
업데이트 2021-06-28 12: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주 송산리 29호분 내 시신이 안치된 방인 현실 모습. 관을 얹어놓는 평상이나 낮은 대를 일컫는 관대가 보인다. 문화재청 제공
공주 송산리 29호분 내 시신이 안치된 방인 현실 모습. 관을 얹어놓는 평상이나 낮은 대를 일컫는 관대가 보인다. 문화재청 제공
일제강점기인 1933년 발굴 조사됐지만 정확한 위치와 실체 등이 알려지지 않았던 공주 송산리 29호분의 규모가 왕릉급이라는 사실이 재확인됐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와 공주시는 88년 만에 다시 이뤄진 송산리 29호분 발굴 조사 결과 무덤 주인을 유추할 수 있는 유물은 나오지 않았으나 위치나 구조 면에서 왕릉급으로 추정된다고 28일 밝혔다. 백제 웅진기(475~538) 왕릉원으로 알려진 공주 송산리 고분군에는 현재 무령왕릉과 1~6호분으로 명명된 고분 등 총 7기의 무덤이 정비돼 있다. 하지만, 기존 조사에 따르면 그보다 많은 수의 고분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송산리 고분군은 계곡을 사이에 두고 서쪽에 무령왕릉과 5·6호분이 있고, 동북쪽에 1∼4호분이 존재한다. 1∼5호분은 백제의 전형적 무덤 양식인 굴식 돌방무덤(횡혈식 석실분)이고, 무령왕릉과 벽화가 있는 6호분은 벽돌(전돌)을 쌓아 조성한 전실분이다.
공주 송산리 29호분 전경. 문화재청 제공
공주 송산리 29호분 전경. 문화재청 제공
이번에 조사한 29호분은 6호분으로부터 남서쪽으로 약 10m 떨어진 곳에서 나타났다. 천장을 비롯한 상부는 모두 유실된 상태였지만 하부는 잘 남아 있었다. 시신을 안치한 방인 현실, 고분 입구에서 현실까지 이르는 길인 연도(羨道)와 묘도(墓道)로 이루어진 굴식돌방무덤이다. 현실의 규모는 남북 길이 340~350㎝, 동서 길이 200~260㎝로 상당히 큰 편이다. 송산리 1~4호분과 유사한 규모일 뿐 아니라 전실분인 6호분보다도 큰 규모여서 왕릉급으로 추정된다.

무덤방의 벽체는 1∼5호분처럼 깬돌인 할석을 썼지만, 바닥과 관을 두는 관대 두 점은 무령왕릉이나 6호분처럼 벽돌을 깔아 만든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연구소는 “이를 통해 송산리고분군 내 고분들의 축조 순서와 위계 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백제문화권 핵심유적 중장기 조사연구 계획’의 하나로 진행하는 공주 송산리고분군 학술조사의 첫 사례다. 연구소는 “29호분 발굴조사를 시작으로 공주 송산리고분군에서 잊힌 고분들을 하나씩 찾아내 백제 왕릉원으로서의 위상을 되찾겠다”고 덧붙였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