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진핑, 통제 불가능한 상황 두려워해 美에 더 공격적”

“시진핑, 통제 불가능한 상황 두려워해 美에 더 공격적”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1-06-27 21:32
업데이트 2021-06-28 02: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페리 하버드대 옌칭연구소 소장

中공산당, 특유의 유연성 덕 100년 지속
바이든은 동맹 강조 ‘전통적 외교’ 구사
한국, 트럼프 때보다 외교 부담 덜할 것

이미지 확대
엘리자베스 페리 하버드대 옌칭연구소 소장(정치학과 교수)이 지난 21일(현지시간) 서울신문과 줌을 통해 인터뷰를 하고 있다.
엘리자베스 페리 하버드대 옌칭연구소 소장(정치학과 교수)이 지난 21일(현지시간) 서울신문과 줌을 통해 인터뷰를 하고 있다.
“구소련의 공산당과 달리 중국 공산당은 특유의 유연성과 적응력 때문에 100년을 이어 왔다고 생각합니다.”

엘리자베스 페리 하버드대 옌칭연구소 소장(73·정치학과 교수)은 지난 21일(현지시간) 서울신문과의 줌 인터뷰에서 “중국에서도 이념은 중요했고 리더들은 자신을 (공산주의) 이론가라고 내세웠지만, 사실 현실적인 정책에 보다 관심을 두었다”며 이렇게 말했다.

페리 소장은 “물론 중국 현대사에서 실수가 없었던 건 아니다. 대약진 운동(1958~1960년)으로 수천만명의 중국인이 굶어 죽었고, 문화대혁명(1966~1976년)으로 많은 지식인들이 박해당했다”면서도 “그럼에도 중국의 어떤 리더도 교조적(어떤 상황에서도 변하지 않는 진리로 따르는 것)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마오쩌둥 전 국가주석이 혁명을 이끌었다면, 덩샤오핑 전 주석은 개혁·개방(사회주의 시장경제)을 추진하는 등 각각의 지도자들이 서로 다른 특색을 보여 주며 공산당을 이끌어 왔다고 평가했다.

페리 소장은 “통상 후진타오 전 국가주석과 원자바오 전 총리는 상대적으로 큰 기여를 안 했다는 평가가 있는데 그렇지 않다”며 “2008년에 금융위기가 터졌고 당시 열린 베이징 올림픽 때 티베트 소요 사태로 공산당이 매우 위험했는데 안정 유지에 성공했고, 시진핑 현 주석의 공로로 평가되는 중국 시골의 빈곤 퇴치 정책도 이때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반면 페리 소장은 시진핑 주석에 대해서는 “전대 지도자보다 (미국에 대해) 더 공격적이고, 더 적극적”이라며 “(자신이) 통제 불가능한 상황을 다른 지도자보다 더 불안해하며 이를 반영하듯 정책의 유연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시 주석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해 “미국과의 격차를 좁힐 수 있는 기회로 쓰고 싶어 했지만, 코로나19의 기원 조사에 대해 투명하게 개방하지 않는 것이 외려 반중 감정을 부를 수 있다”고 평가했다.

공산주의의 빠른 의사 결정 및 정책 실행 속도에 대해서는 “분명 큰 장점”이라면서도 “좋지 않은 정책이라면 끔찍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최고지도자가 사려 깊고 유능하지 않다면 장점보다 단점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례로 1990년대 중국 정부의 산아제한 정책이 즉각 효과를 발휘하면서 노년 인구를 부양하기에 청년의 수가 적은 ‘인구 불균형’이 너무 빠르게 나타났다는 점을 들었다.

페리 소장은 미중 갈등 국면에 대해 “중국이 국내적 위기를 겪게 된다면 중국 정부가 대만에 대해 군사적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며 우려했다. 다만 미중 사이에서 불거질 수 있는 한국의 고충에 대해서는 “바이든 대통령은 전통적 미국 외교 정책을 구사할 것”이라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대조적으로 동맹 유지를 매우 강조하기 때문에 한국이 당시보다 곤란한 상황이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외 공산당이 100년 후에도 중국의 통치 체제로 존속할 것으로 보냐는 질문에는 “미국의 민주당과 공화당이 100년 후에 존재할 것이라고 확신할 수 없듯 공산당 역시 중국에서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며 “현재의 어떤 정치 시스템도 (국민들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글 사진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kdlrudwn@seoul.co.kr
2021-06-28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