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은 “코로나 지원에 가려진 가계 연체율 0.6%P”

한은 “코로나 지원에 가려진 가계 연체율 0.6%P”

유대근 기자
입력 2021-06-22 17:54
업데이트 2021-06-22 18: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치상 안정에 잇단 경고

“작년 가계대출 연체율 0.6%에 그쳤지만
원금 상환 유예 등 없었다면 최대 1.2%
고위험 대출자, 금리 오르면 더 큰 타격”
이미지 확대
1700조원 이상 쌓인 가계부채가 우리 경제를 흔들 뇌관으로 지목받는 가운데 한국은행이 “낮은 가계대출 연체율에 안심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원금 상환 유예를 비롯해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정책 지원 덕에 수치상 안정됐을 뿐 방심하면 언제든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신용도가 낮은 다중채무자나 버는 돈에 비해 원리금을 무리하게 상환해야 하는 고위험 대출자가 향후 금리 인상 때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은행이 22일 공개한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가계대출 연체율은 대출 후 1년이 지난 시점을 기준으로 평균 0.6%였다. 이는 2013∼2019년 가계대출 연체율(1.0%)을 크게 밑도는 수치다. 한은은 “코로나19 이후 시행된 각종 지원 조치가 가계대출 연체율을 낮추는 데 기여했다”며 “지원 조치가 없었다면 지난해 연체율은 현재 수준보다 0.3∼0.6% 포인트 높아졌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신용이 낮거나 벌이가 많지 않은 취약 부문은 향후 대출 금리가 오르면 연체율이 크게 뛸 수 있다. 취약 부문은 ▲다중채무자(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돈을 빌린 사람)이면서 저소득자(소득 하위 30% 이하) 또는 저신용자(신용점수 664점 이하) 같은 취약 대출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70% 이상인 고(高)DSR 대출자이다. 연소득의 70% 이상을 대출 원리금을 갚는 데 쓴다는 얘기다. 한은이 최근 금리 상승기(2016년 4분기~2019년 1분기) 당시를 분석한 결과 고DSR 대출자는 이 기간 연체율이 0.3% 포인트 올랐지만 중·저DSR 대출자의 연체율은 변화가 없었다. 취약 대출자의 연체율도 금리 상승기 때 2.0% 포인트 높아졌다.

한은은 “취약 대출자는 시장금리 변화에 민감한 신용대출 비중이 크고, 금리가 오르면 채무상환 부담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증가한다”며 “향후 각종 금융 지원 조치는 끝났는데 소득은 바로 나아지지 않는다면 (연체 등) 신용 위험이 커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또 코로나19 여파로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좀비기업)이 늘었는데, 이들을 돕기 위한 금융 지원이 너무 길어지면 오히려 구조조정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한계기업은 전체 분석 대상 기업(분기별 재무제표 공시 기업 2520개) 가운데 39.7%(1001개)였다. 한 해 전(35.1%)보다 4.6% 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금리가 낮아지고 정부 지원이 늘어 돈을 빌리는 데 드는 비용이 줄었는데도 수익성이 더 나빠져 한계기업이 늘었다는 해석이다. 한은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금융지원 조치를 경기 회복과 금융불균형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질서 있게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21-06-23 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